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6:37
본문
Download : 중세국어_선어말어미_오우의_기능.hwp
그러나 어느 접근법도 ‘-오-’의 기능을 충분히 설명(說明)하지 못하…(省略)
순서
중세국어의 선어말 어미 ‘-오/우-’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국어 문법 연구가 본격적으로 처음 된 이래로 상당히 많은 논란이 있어 왔고 아직도 그 성격이 분명히 드러난 것으로 보기는 어려운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Download : 중세국어_선어말어미_오우의_기능.hwp( 43 )
,인문사회,레포트
그동안의 ‘-오/우-’에 대한 논의의 대부분이 추구하였던 주제는 ‘-오/우-’의 기본적인 의미·기능이 무엇이냐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아 그들에 의해 밝혀진 ‘-오/우-’의 의미와 기능은 ‘-오/우-’를 다룬 논의의 수만큼이나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문제에 대한 접근 태도를 보아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할 수가 있다아
레포트/인문사회
이미 사라진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 ‘-오/우-’가 ‘-노니, -노라, -도다’ 등으로 현대국어에 살아 있음을 확인한 임홍빈(1980)의 논의도 현대국어를 바탕으로 하여 중세국어의 ‘-오/우-’를 찾아가는 데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현행 학교문법에서는 “주어 대명사가 화자 자신(1인칭)일 때 이에 일치하여 서술어에 ‘-오-’가 나타난다.”고 기술되어 있다 하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이 꽤 복잡해서 그 기능을 함부로 속단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앞서 논의한 두 가지 접근태도에서 각각 ‘의도법설’과 ‘인칭 · 대상설’에 대당하는 입장이다. 그들에 의해 밝혀진 ‘-오/우-’의 의미와 기능은 ‘-오/우-’를 다룬 논의의 수만큼이나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문제에 대한 접근 태도를 보아 크게 두 가지로 대별할 수가 있다.
설명
중세국어의 선어말 어미 ‘-오/우-’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국어 문법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로 상당히 많은 논란이 있어 왔고 아직도 그 성격이 분명히 드러난 것으로 보기는 어려운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선어말어미 ‘-오-’는 종결형과 연결형, 그리고 관형사형에서 형태소의 자격을 얻는다.그동안의 ‘-오/우-’에 대한 논의의 대부분이 추구하였던 주제는 ‘-오/우-’의 기본적인 의미·기능이 무엇이냐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오/우-’우에 관한 그 동안의 연구 업적들을 살펴보는 것은 아직도 안개 속에 있는 듯한 ‘-오/우-’의 모습을 찾아가는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 기능을 파악함에 있어서는 세 활용형에 나타나는 ‘-오-’를 동질시할 수도 있고 종결형과 연결형의 ‘-오-’를 관형사형의 ‘-오-’와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이질시할 수도 있다 ‘-오-’의 기능을 동질시하는 것은 의미 · 화용론적 접근이고 이질시하는 것은 통사론적 접근이다.
[중세국어]중세국어_선어말어미_오우의_기능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이러한 ‘-오/우-’우에 관한 그 동안의 연구 업적들을 살펴보는 것은 아직도 안개 속에 있는 듯한 ‘-오/우-’의 모습을 찾아가는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중세국어]중세국어_선어말어미_오우의_기능 ,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인문사회레포트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