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합병에 대한 현행법상 규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9 10:46
본문
Download : 인수합병에 대한 현행법상 규정.hwp
② 채권자가 제1항의 기간 내에 이의를 제출하지 아니한 때에는 합병을 승인한…(skip)
설명
인수합병,현행법상,규정,경영경제,레포트
순서
인수합병에 대한 현행법상 규정 , 인수합병에 대한 현행법상 규정경영경제레포트 , 인수합병 현행법상 규정
Download : 인수합병에 대한 현행법상 규정.hwp( 40 )
인수합병에 대한 현행법상 규정
인수합병에 대한 현행법상 규정
레포트/경영경제
다.
▶ 채권자의 이의 (제232조 )
① 회사는 합병의 결의가 있은 날로부터 2주간 내에 회사채권자에 대하여 합병에 이의가 있으면 일정한 기간 내에 이를 제출할 것을 공고하고 알고 있는 채권자에 대하여는 각별로 이 를 최고하여야 한다.




인수합병 (M&A)에 대한 현행법상 규제
1. 상법상 규제
?
▶ 합병은 합병 당사자의 의사결정에 따라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법에서는 채권자 및 기존주주 보호의 측면과 법인격의 성질이 다른 경우에 일부 제약이 있다
▶채권자 및 기존주주 보호 측면(제 527조의5 및 제 522조의3)
합병에 의의가 있는 채권자에 한하여 일정기간 안에 의의를 제출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합병 결의에 반대하는 주주에 대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그 기간은 2월 이상이어야 한다.
▶법인격의 성질이 다른 경우(제 174조의2 및 제 600조)
물적회사와 인적회사간 합병시 존속회사는 반드시 물적회사여야 하며, 주식회사와 유한회사간 합병시 존속회사가 주식회사인 경우에는 반드시 법원의 인가를 받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