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문학] ‘텍스트’에서 ‘하이퍼텍스트’로: 매체의 변화와 그것의 문학교수법적 수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11 06:20
본문
Download : 텍스트에서 하이퍼텍스트로 매체의 변화와.hwp
설명
매체의문학교수법,사범교육,레포트
[독일문학] ‘텍스트’에서 ‘하이퍼텍스트’로: 매체의 변화와 그것의 문학교수법적 수용
Download : 텍스트에서 하이퍼텍스트로 매체의 변화와.hwp( 16 )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다. 이제 문예학과 문학교육은 “새로운 미디어의 중력장 Gravitationsfeld neuer Medien”* 이 논문은 1999년도 학술진흥재단의 연구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KRF-99- 003-A00267) 논제에서 말하는 ‘텍스트’는 인쇄매체인 책의 ‘텍스트’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한 定義(정의) 임을 미리 밝혀둔다.
1. 들어가는 말, 2. 문화사적 관점에서 본 매체의 변화 - 책의 ‘텍스트’에서 ‘하이퍼텍스트’로, 3. 문학교육의 변화 - ‘교양’에서 ‘미디어 능력’으로, 4. 매체의 문학교수법적 수용, 5. 맺는 말, , FileSize : 160K , [독일문학] ‘텍스트’에서 ‘하이퍼텍스트’로: 매체의 변화와 그것의 문학교수법적 수용사범교육레포트 , 매체의문학교수법
1. 들어가는 말, 2. 문화사적 관점에서 본 매체의 변화 - 책의 ‘텍스트’에서 ‘하이퍼텍스트’로, 3. 문학교육의 변화 - ‘교양’에서 ‘미디어 능력’으로, 4. 매체의 문학교수법적 수용, 5. 맺는 말, , 크기 : 160K






근대를 선도해 온 책의 ‘텍스트’에 전적으로 의존해 왔던 문예학과 문학교육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진단은 진부한 레퍼토리에 불과하다. ** 목포대학교 인문대학 독일언어文化(culture) 학과 조교수 Peter Gendolla: Literaturwissenschaft im Gravitationsfeld neuer Medien, in: Der Deutschunterricht, H. 6, 1998, S. 55. 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며, 오히려 적극적인 자세로 위기를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기반으로 하지 않을 때 공허한 메아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