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명령의 정당성에 대한 법적검토 - 전직 명령의 정당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31 08:03
본문
Download : 전직명령의정당성에대한법적검토.hwp
그런데 후술할 바와 마찬가지로 전직의 정당성의 인정여부에 대해 판례는 여러 가지의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따
이하에서는 이러한 전직명령의 정당성의 판단기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② 근로계약상의 정당하게 행해지는 전직명령이라 하더라도 강행법규에 반하는 경우에는 그 효력을 유지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사건에 비추어 볼 때 기자로서의 근로업무가 근로계약상 특정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인가? 이 문제는 본 사건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판례에 의하면 근무장소가 특정되어 이의 변경을 위해서는 근로자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한 판례가 있고 근로내용이 특정-특히 업무의 특정-되었다고 보아 전직명령의 효력을 부정한 판례도 있따 이상의 판례를 살펴보면 특정한 자격이나 전문적 기술,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근로계약의 특정이 이루어 졌다고 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직명령의 정당성에 대한 법적검토 , 전직명령의 정당성에 대한 법적검토 - 전직 명령의 정당성법학행정레포트 , 전직명령의 정당성에 대한 법적검토 - 전직 명령의 정당성
전직 명령의 정당성
1. 들어가며
우리나라에서는 사용자의 근로자에 대한 인사이동을 사용자측의 일종의 권리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왔다. 판결은 “…언론사에 있어서 기자의 신분과 업무직원의 신분은 일반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그 업무의 내용도 상이하며, 참가인들은 원고회사에 입사할 때 처음부터 기자직으로 입사하여 상당 기간 편집국에서 근무하여 오면서 장래에도 같은 직종에서 근무하리라고 생각하였고…”라고 설시하여 기자로서의 업무가 근로계약상 특정되었다고 판단하였다.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전직명령의정당성에대한법적검토.hwp( 60 )



순서
전직명령의 정당성에 대한 법적검토 - 전직 명령의 정당성
설명
전직명령의,정당성에,대한,법적검토,-,전직,명령의,정당성,법학행정,레포트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2. 전직의 관념
우선 전직의 관념을 배치전환, 전근, 전출 등의 매우 다양한 인사관리 형태를 포괄하며 기업집단내의 기업간 이동 및 타 회사로의 전적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폭넓게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skip)3. 정당한 전직명령의 판단기준
① 전직명령의 법적 근거는 우선 근로계약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다고 보여진다. 예를 들면 근로기준법상의 각 규정(제5조, 63조, 68조, 70조, 107조 등)이나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81조, 제43조 1항,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상의 여러 규정(제5조 2항 단서, 제5조 4항, 제16조 1항, 제21조, 제24조 2항 등)에 위반하는 전직명령
전직명령의 정당성에 대한 법적검토
다. 그러나 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에서는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정직, 전직, 감봉, 기타 징벌을 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근로자를 전직할 수 없다. 이러한 경향은 본 판결에서도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