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자치단체에 대한 주민통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8 18:51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자치단체에 대한 주민통제.hwp
4) 이익집단 : 주민은 노동조합, 여성단체, 소비자단체 등 각종 이익집단을 조직하거나 가입하여 활동함으로써 자기권익을 행정에 반영시키고 정책결정에 影響을 미친다. 즉 자치행定義(정의) 목표(goal)가 efficacy적으로 수행되고 행정이 주민의 입장에서 행해질 수 있도록 지역주민이 업무수행과정이나 결과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통제하는 일련의 모든 활동과 정이라고 할 수 있다
2) 중요성 : 주민통제는 행정권의 확대로 권력남용의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행정기능이 고도의 복잡성/전문성을 띠게 됨에 따라 전통적인 입법적/사법적 통제가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3) 特性
- 자치행定義(정의) 민주성/합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자치행정조직의 외부에서 행하는 외재적 민주통제이다. 그러나 선거에 의한 행정통제는 정책결정과 집행과정에서 일어나는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는 되지 못하고 간접적 성격을 띤다. 직접 청구에는 주민발안, 주민투표, 주민소환, 사무감사의 청구, 주민감사청구 및 주민소송제도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선거쟁송에 관한 주민소청과 주민감사청구, 조례제정/개폐청구, 주민청원 및 주민투표제가 채택되고 있다2) 선거 : 주민들이 원하는 정책을 지도자 또는 정치엘리트들이 수행할 때 이를 정책의 일치라고 하는데, 선거는 이러한 정책일치를 고무시킨다.
6) 주민참여 : 주민들은 공청회/심의회/여론조사/반상회/서명운동/집단민원/데모 등을 통하여 행정기관의 정책결정 및 집행에 참여하거나 주거를 변경하고 사업장을 옮김으로써 행정을 통제한다.
Download : [사회과학] 자치단체에 대한 주민통제.hwp( 63 )
사회과학,자치단체,주민통제,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사회과학] 자치단체에 대한 주민통제 , [사회과학] 자치단체에 대한 주민통제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자치단체 주민통제
[사회과학] 자치단체에 대한 주민통제
[사회과학] 자치단체에 대한 주민통제
다. 실제로 행사되는 경우는 드물고 책임행정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심리적인 efficacy가 큰 제도라 할 수 있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