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 민중사-한국의 의식주,한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30 03:23
본문
Download : 한국민속 민중사-한국의 의식주,한국사.pptx
한국민속 민중사-한국의 의식주,한국사
한국민속 민중사-한국의 의식주,한국사






순서
설명
_SLIDE_1_
한국민속 민중사
-한국의 의식주
_SLIDE_2_
衣
食
宙
槪要
_SLIDE_3_
衣 전통 의복 introduce
_SLIDE_4_
衣 조선시대의 복식
복식문화의 발달
유교이념의 추구
중국(China)과의 교역
조선 전기의 복식
모든 계층에 따른 복식 정비
고려시대 도입된 몽고풍의 소화
조선 후기의 복식
전란의 influence으로 문물의 손실이 커서 복식 제도가 문란
영조 정조 : 우리 옷의 미적인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남
_SLIDE_5_
衣 남자 복식 : 왕복과 왕세자복
익선관 곤룡포를 착용한 태조 어진을 보면 곤룡포의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보를 달았음
이 용은 발톱이 다섯 개인 오조룡으로 지존의 위엄을 나타내고 있음
세자는 사조룡, 세손은 삼조룡으로 함(조선 초기)
_SLIDE_6_
衣 남자 복식 : 백관복
임경업 장군의 관복은 사모
청단령포, 상아대, 흑혜의 차림
인조 때 나라에 공이 컸던 무신에게 내렸던 도식화된 특이한 흉배를 함
(왼쪽)
대원군이…(skip)
한국민속 민중사-한국의 의식주,한국사 , 한국민속 민중사-한국의 의식주,한국사인문사회레포트 , 한국민속 민중사 한국 의식주 한국사
레포트/인문사회
한국민속,민중사,한국,의식주,한국사,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민속 민중사-한국의 의식주,한국사.pptx( 23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