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오프제하에 서의 노조전임자 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0 09:39
본문
Download : 타임오프제하에서의 노조전임자 제도.hwp
즉, 사용자가 전임자를 인정하는 것과 전임자에게 (노동조합이 아닌) 사용자가 급여를 지급하…(省略)
3. 타임오프제하 노조전임자 근태
4. 노조전임자 관련 부당노동행위
1) 노조전임자의 정당한 조합활동을 이유로 불이익 취급을 하거나, 조합활동을 방해하는 경우
2) 정당한 이유 없이 노조전임자 선정을 방해하거나 그 활동을 어렵게 하는 경우
3) 노동조합이 부담하는 전임자의 활동을 이유로 인사배치, 경력관리, 승진 등에 있어서 불합리하게 差別하는 경우
4) ’10.7.1 이후에도 노조전임자에게 종전과 같이 급여를 지원하는 경우
5) 노조간부나 노조전임자를 사업장 내 인사?노무부서 등 지원부서에 배치하고 부서업무와 관련된 업무를 하지 않고, 노조활동을 하도록 하면서 급여를 지급하는 경우
5. 노조전임자 급여지급 요구 관련 쟁의행위 정당성
Download : 타임오프제하에서의 노조전임자 제도.hwp( 79 )
타임오프제하에 서의 노조전임자 제도
설명
타임오프제하에 서의 노조전임자 제도 , 타임오프제하에 서의 노조전임자 제도경영경제레포트 , 타임오프제하 서 노조전임자 제도
타임오프제하에 서의 노조전임자 제도
타임오프제하,서,노조전임자,제도,경영경제,레포트
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조전임자의 정당한 노조활동을 제한하여서는 아니된다된다.순서
레포트/경영경제


근로시간면제제도(타임오프제) 시행과 노조전임자 제도
1. 근로시간면제자와의 구별
7월 1일부터 실시되는 타임오프제에서는 근로시간 면제자와 노조전임자의 槪念이 구별되게 된다된다. 즉 기존의 노조전임자가 노사간 자율적으로 합의되어 있다면, 타임오프제가 실시되고, 근로시간면제자 한도를 넘는 노조전임자가 있다고 하여 노조전임자 자체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그러한 노조전임자에 대한 급여 지급만이 금지되는 것이다.2. 전임자 급여지급 금지
노조전임자의 급여는 법에 따라 노동조합 스스로 부담해야 하며 그 전임기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급여도 지급받아서는 안된다된다.이하에서 이와 관련하여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