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의 `산유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04 05:52
본문
Download : 김소월의 `산유화`.hwp
대상을 바라보는 시인의 태도는 무엇보다 꽃이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다는 표현과 작은 새가 꽃이 ‘좋아’ 산에서 산다는 표현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순서
서평감상/서평
이 시의 제1연과 제4연은 계절의 變化(변화)에 따라 꽃이 피고 지는 단순한 사실과 시의 배경을 제시하고 있을 뿐, 시 해석상의 특별한 단서를 보여 주지는 않는다.
그러면 꽃이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다는 것은 어떻게 이해해야 될까? 논자에 따라서는 「소월이 저만치라고 지적한 거리는 인간과 청산과의 거리인 것이며, 이 말은 다시 인간의 자연 혹은 신에 대한 향수의 거리」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산유화山有花-김소
김소월의 `산유화`
김소월의,`산유화`,서평,서평감상
김소월의 시집중 산유화를 읽고 그 시와 함께 핵심정리,감상의 길잡이를 함께 적은 글입니다.
잘 살펴보면, 제2,3연에 사용된 낱말 가운데는 단순히 객관적인 자연물이나 자연 현상을 표시하는 것과 시인의 주관적인 감정을 표시하는 것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꽃’, ‘새’, ‘피다’, ‘살다’는 전자를 대표하는 낱말들이고, ‘저만치 혼자서’와 ‘좋아’는 후자를 대표하는 낱말들이다.
Download : 김소월의 `산유화`.hwp( 92 )
설명
김소월의 시집중 산유화를 읽고 그 시와 함께 핵심정리,감상의 길잡이를 함께 적은 글입니다.
서정시가 객관 세계의 어떤 대상을 통해서 얻어진 시인의 감흥의 표현이라 할 때, 우리는 대상을 바라보는 시인의 태도가 어떤 것인가를 먼저 알아야 한다.산유화山有花-김소 , 김소월의 `산유화`서평서평감상 , 김소월의 `산유화`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