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06 03:22
본문
Download : 한국의 탑_2053716.hwp
석가 입멸 이후 백년이 지나 인도를 통일하고, 인도제국을 성립시킨 마우리아 왕조의 아쇼카왕은 불타의 사리를 봉안한 8대탑을 해체하여 이 사리들을 84,000으로 나누어 전국에 8만 4천이나 되는 사리탑을 세웠다고 中國의 불전에 기록되어 전한다.
설명
한국의 탑
다.
아. 탑은 중앙아시아로부터 中國에 와서 목탑과 전탑이라는 새로운 양식을 낳았고, 한국에 와서는 초기에 목탑과 전탑양식의 탑이 세워졌지만, 삼 국시대 말부터 석탑이 주류를 형성하게 된다 아룰러 中國이나 한국에 서는 부처님의 진신살리 대신에 부처님의 법이 적혀진 불경이나 불상 등 법신(法身)사리를 봉안한 탑을 조성하게 된다
4…(투비컨티뉴드 )(1) 황룡사 9층 목탑( 높이 80m 일 것으로 추정) - 고려시대 몽고의 침략기 소실
(2) 충청북도 보은 가야산 법주사 팔상전(국보 55호)
(3) 전라남도 화순 쌍봉사 대웅전(보물 163호)
(4) 경상북도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189호)
(5) 경기도 여주 신륵사 다층 전탑(보물 226호)
(6) 경상북도 경주 불국사 석가탑(국보 21호)
(7) 경상북도 경주 불국사 다보탑(국보 20호)
(8) 경상북도 경주 감은사지 동-서 3층석탑
우영이탑[1]
Download : 한국의 탑_2053716.hwp( 91 )
레포트/공학기술
탑이 무엇인지에 대해 definition 하고 한국의 탑에 대해서 시대별로 정리(arrangement)하여 설명(說明)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