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대표자의 단체교섭체결권을 제한하는 규약의 효력 - 규약에 의한 노조대표자의 단체교섭 체결권 제한의 可否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08 16:13
본문
Download : 노동조합대표자의단체교섭체결권을제한하는규약의효력.hwp
노동조합대표자의 단체교섭체결권을 제한하는 규약의 효력 - 규약에 의한 노조대표자의 단체교섭 체결권 제한의 可否
노동조합대표자의 단체교섭체결권을 제한하는 규약의 효력


다.
- 개정후 -
[단체협약의 체결]단체협약안은 대의원회 의결을 얻어 노조측안으로 확정, 이를 바탕으로 교섭하여야 하며 임금 및 단체협약의 협의된 사항은 대의원회의 과반수 이상의 동의를 득한 후 위원장이 체결한다.
개정내용이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29조(교섭 및 체결권한) 규정에 비추어 위법사항이 있는지 여부…(省略)
2. 개정내용이 노조법 제29조(교섭 및 체결권한) 규정에 비추어 위법인지 여부
3. 총회 인준권 조항을 이유로 한 사용자의 단체교섭 거부 가능성
Download : 노동조합대표자의단체교섭체결권을제한하는규약의효력.hwp( 71 )
설명
노동조합대표자의 단체교섭체결권을 제한하는 규약의 효력 , 노동조합대표자의 단체교섭체결권을 제한하는 규약의 효력 - 규약에 의한 노조대표자의 단체교섭 체결권 제한의 可否경영경제레포트 , 노동조합대표자 단체교섭체결권 제한하 규약 효력
노동조합대표자,단체교섭체결권,제한하,규약,효력,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순서
규약에 의한 노조대표자의 단체교섭 체결권 제한의 可否
1. 들어가며
노동조합 대표자의 단체교섭 체결권을 제한하는 내용으로 변경하는 규약의 효력 유무가 문제되는바 단체협약 체결 관련 노동조합 규약을 아래와 같이 개정하자 회사에서는 위법하다는 이유로 예컨대 다음과 같이 노동조합의 규약을 개정한 경우- 개정전 -
[단체협약의 체결]단체협약안은 대의원회 의결을 얻어 노조측안으로 확정, 이를 바탕으로 교섭하여야 하며 단체협약의 최종 체결권자는 위원장이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