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 / china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 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7 22:28
본문
Download : 중국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hwp
예를 들어 한자어의 경우, 사전의 표제어로 올라 있지만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것들도 아주 많다. 중국(China)어에 관한 모든 사항은 現代漢語詞典 (中國社科院語言所詞典編輯室編, 商務印書館, 1996, 修訂第3版)기준이다. 또한 그 차이, 추가 설명(explanation)이 필요한 부분은 ‘차이’(또는 ‘차’)부분에서 다룬다.
Ⅱ. 어휘 비교 및 설명(explanation)
Download : 중국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hwp( 28 )
중국(China)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
參考文獻
중국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 Ⅰ. 머리말 Ⅱ. 어휘 비교 및 설...
Ⅰ. 머리말
중국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 / 중국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 Ⅰ
3. 의미론적 측면
다. 주로 오류현상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한자어에 관한 모든 사항은 우리말 큰 사전 (한글학회 지음, 어문각, 1991.12,초판)기준이다. 예를 들어, “暴民”(“暴徒”), “壁爐”(“壁煖爐”), “邊疆”(“邊境”), “便服”(“平服”)등은 우리말 큰 사전 에 표제어로 올라 있으나,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것들이다. 언어analysis의 각 층위별로 설명(explanation)을 한다는 견지에서 음운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측면등의 용어를 사용했지만,...
순서
2. 통사론적 측면





설명
한국인의 중국(China)어 학습에 있어 주의할 사항 중, 어휘와 관련된 몇 가지를 구체적 예를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china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 Ⅰ. 머리말 Ⅱ. 어휘 비교 및 설...
Ⅰ. 머리말
〈 目 次 〉
Ⅲ. 맺음말
china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 / china어학습상의 어휘 오류현상 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음운론적 측면
4. 기타 측면
몇가지 분류 기준에 의해 이를 유형별로 정리해 보자. 설명(explanation)의 편의를 위해 크게 음운론적 측면, 통사론적 측면, 의미론적 측면, 기타 측면으로 나눈다. 가능한 한 원칙적으로 한자어, 중국(China)어 양쪽 다 현재의 어휘용법을 기준으로 한다. 이와 반대로, 개인의 어감에만 의존해도 그 객관적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역시 문제점(問題點)은 존재한다. 여기서의 ‘어휘’는 어휘전체의 관념으로 단어뿐만 아니라, 成語 등도 함께 고려하겠다. 이하 편의상 한국 한자어휘는 ‘한자어’(또는 ‘한’), 중국(China)어 어휘는 ‘중국(China)어’(또는 ‘中’)로 약칭한다. 그러나, 주로 사전의 표제어를 analysis한 것이기 때문에, 사전상의 설명(explanation)과 실제 용법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