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분석과 전통민요의 전승맥락 /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6 18:23
본문
Download :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분석과 전통민요의 전승맥락.hwp
지금까지 발간된 화순군 민요reference(자료)들에는 1987년 1월 池春相에 의해 수행된 全南의 農謠,1) 1987년 10월 崔來沃·金均泰에 의해 요점된 韓國口碑文學大系 화순편,2) 1993년 10월 강동원에 의해 수행된 和順의 민요3)가 있다아 池春相은 농요를 현지 조사하여 악보와 함께 수록하였고, 崔來沃·金均泰는 한국정신culture연구원이 주관한 한국구비문학대계 작업의 일환으로 설화와 민요를 요점하여 수록했다.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분석과 전통민요의 전승맥락 /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전남 화순군의 事例(사례)를 중심으로
이 글의 reference(자료)가 되는 화순군 민요reference(자료)들은 1997년 8월부터 1998년 2월 사이에 글쓴이가 수집한 것들이다.
Download :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분석과 전통민요의 전승맥락.hwp( 36 )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분석과 전통민요의 전승맥락 전남 화...
설명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분석과 전통민요의 전승맥락 /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글쓴이는 앞선 사람들의 성과들을 참고하면서 민요reference(자료)와 생애담 reference(자료)를 조사 요점했다. 또 수집된 민요reference(자료)들과 민요 소리꾼들의 생애담도 글쓴이가 조사 연구한 도서지역 민요reference(자료)나 소리꾼들의 생애담 reference(자료)와 구분되기 때문에 내륙지역 민요사회의 characteristic(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강동원은 화순군 출신으로 자기 고장의 민요를 수집·요점하려는 열의로 화순군 전체의 민요를 수집 요점하였는데, 여기에는 지춘상의 작업까지 수렴되어 있으며 김균태가 요점한 화순 민요의 성격과 특징도 수록되어 있다아
1. 머리말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analysis(분석) 과 전통민요의 전승맥락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분석과 전통민요의 전승맥락 전남 화...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이 글은 전남 내륙지역인 화순군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analysis(분석) 을 통해 내륙 산간 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 과정을 유형화하고, 전통민요의 중심적 reference(자료)인 밭매기노래와 길쌈노래의 전승 맥락을 고찰하기 위해 쓴 것이다. 화순군은 전남의 내륙지역으로 도서지역이나 평야지역과는 지리적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characteristic(특성)을 지닌다. 생애담을 추가한 것은 민요를 온전히 아는 한 과정으로서 민요를 생산하고 연행했던 민요 소리꾼의 삶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일것이다 글쓴이가 집중 조사한 지역과 reference(자료)들은 다음과 같다. 지역은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 화순읍 벽나리, 화순읍 대리, 화순읍 서태리, 능주면 천덕리, 동복면 한천리 등이고 reference(자료)들은 도암면 도장리...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