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별노조와 노동관계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8 13:16
본문
Download : 산별노조와 .hwp
산별노조와 노동관계법
_ 1. 헌법과 노동관계법
_ II. 헌법·ILO헌장과 노동관계법
_ 2. 국제노동기구(ILO)와 노동관계법
_ III. 산별노조와 노동관계법
단순히 법적 측면에서만 본다
순서
산별노조 국제노동기구 ILO 노동관계법 / (노동법)
_ IV. 산별노조와 노동법개정 산별노조건설문제는 최근 우리 나라 노동운동계의 최대의 현안적 관심사이며 당면project의 하나로 되어 있다 현재 우리 나라 노동조합조직의 지배적 형태인 기업별노조를 극복하고 조직형태를 초기업적 산별노조체제로 전환개편하려는 것이다. 후자는 과거 5.16 군사政府에 의해 등장했던 강제적·형식적 산별노조와 같은 것이 아닌 아래로 부터의 요구에 의해 자주적으로 조직된 힘있는 산별노조를 창출해 내어 마침내 그 총연합단체로서의 새로운 민주노총결성을 꾀하는 발상인 것이다. 특히 금년(1994) 1월 23일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의 위원장 경선에서의 核心(핵심)쟁점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산별노조건설의 경로와 전술에 관한 것이었고, 한국노동조합총연맹(노총)은 손쉬운 산별체제전환을 위한 노동법상의 명문조항 신설을 강력히 요구하는 입법활동을 전개하고 있기도 하다.
산별노조 국제노동기구 ILO 노동관계법
_ 1. 산별노조 관련법규의 변천사
산별노조 국제노동기구 ILO 노동관계법 / (노동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Download : 산별노조와 .hwp( 66 )
_ 2. 현행법상의 산별노조결성 절차와 그 걸림돌
- I. 문제상황
다. 양대 노동조합단체들은 산별노조건설의 불가피성에 대한 인식은 같으나 그 건설경로에 대하여는, 노총은 실질적으로 조직의 현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법적 강제에 의해 간단히 조직형태만 전환하려는 발상인 데 반하여 전노협은 어떻게 제구실하는 본래적 의미의 산별노조를 건설할 것인가를 고심하며 논쟁하고 있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