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국악 theory(이론) 책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7 15:57
본문
Download : 알기쉬운 국악 이론.hwp
14. 시나위
- 대금,향피리,해금,아쟁,좌고,장구 등으로 악기 구성, 아쟁,당적이 추가되기도 함
국악 기보법 영산회상 취타 판소리 제례악 / 국악개론(개정판), 이성천 외 지음, 풍남 ()
Ⅲ. 악기
순서
6. 취타
12. 시조
19. 범패
20. 굿음악
5. 장단
18. 풍물놀이와 사물놀이
- 함령지곡 : 삼현도드리 + 염불도드리 + 타령 + 군악
레포트 > 기타
10. 가곡
13. 산조
2. 고대의 음악
1. 영산회상
Download : 알기쉬운 국악 이론.hwp( 11 )
- 향피리가 주선율을 연주하다가 쉬고 있을 때 대금,해금 등의 비교적 소리가 작은 악기들이 그 뒷가락을 이어서 연주하는 ‘연음’ 형태가 보임
5. 수제천과 동동
Ⅰ. 理論
17. 민요
4. 구성방식과 연주 방식
- 음량이 큰 관악기가 중심이 되어 편성되는 음악인만큼 대금은 역취를 쓰고, 장구의 채편은 복판을 치는 등 현악 영산회상에 비하면 합주소리가 크고 시원스러움
4. 낙양춘
2. 기보법
향당교주 : 상령산
2. 여민락
Ⅱ. 악곡
1. 선사시대의 음악
1. 악기의 분류
국악 기보법 영산회상 취타 판소리 제례악 / 국악개론(개정판), 이성천 외 지음, 풍남 ()
7. 종묘제례악
Ⅳ. 역싸
11. 가사
16. 잡가
- 무용 반주 음악으로 많이 사용
8. 문묘 제례악
3. 보허자





3. 중세의 음악
3. 음계와 선법
15. 판소리
9. 정동방곡과 유황곡
2. 악기
5. 근대의 음악 1-2. 관악 영산회상
설명
1. 율
- 관악기가 중심, ‘삼현영산회상’, ‘표정만방지곡’
4. 근세의 음악
국악 기보법 영산회상 취타 판소리 제례악
- 현악 영산회상과 달리 하현 도드리가 없이 모두 8곡으로 이루어져 있음
알기쉬운 국악 theory(이론) 책 요약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