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전통 만들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6 18:56
본문
Download : 지역의 전.hwp
본래 굴도 어리굴젓은 굴도에서 나는 자연산인 토화(土花)굴로 담근다.
지역 전통 역사 / 박춘석, 1987, 《서산의 민속》, 지혜문화사. 부석노인회, 1992, 《부석의 이모저모》 서산문화원, 1987 《서산민속지》. 서산문화원, 1990 《전통어린 내고장》 유철인, 신행철 외 지음, 1995(1986), 〈제주사람들의 문화적 정체감〉《제주사회론》, 375~397쪽 서울: 도서출판 한울. ()
다. 토화굴은 어릴 때에는 돌과 바위에 붙어 석화(石花)굴로 자라다가 완전히 자란 뒤에는 돌과 바위에서 떨어져 갯벌에 사는 토화굴이 되는 것이다. 서산문화원(1990: 193)의 자료(data)에 의하면, 굴도의 토화굴은 다른 지방의 굴에 비해서 색깔이 거무스름하고 알이 작은 편이지만, 굴에 나있는 털이 작으면서 수가 많아 고춧가루 양념이 털에 잘 묻어 속살까지 배어드는 게 특징이다
지역 전통 역사
서산文化(문화)원, 1990 《전통어린 내고장》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유철인, 신행철 외 지음, 1995(1986), 〈제주사람들의 文化(문화)적 정체감〉《제주사회론》, 375~397쪽 서울: 도서출판 한울.
순서
지역의 전통 만들기
2. 역사를 만들어 보여주기
지역 전통 歷史(역사) / 박춘석, 1987, 《서산의 민속》, 지혜文化(문화)사.
서산文化(문화)원, 1987 《서산민속지》.
부석노인회, 1992, 《부석의 이모저모》





1. 전통을 새롭게 만들기
()
설명
충남 서산시 부석면의 동쪽 바다였던 서산 A지구 간척지는 1983년 10월 부석면 동남쪽 바다에 위치한 굴도(島)와 부석면 해안리 사이에 방조제(防潮堤)가 건설되면서 매립이 스타트되어 1984년 3월에 매립을 마쳤다. 예전에도 썰물 때에는 굴도 주민들이 대동리나 해안리 쪽으로 갯벌을 걸어서 다니기도 했지만, 방조제의 건설로 하나의 섬으로 있던 굴도는 육지와 연결되었다.
Download : 지역의 전.hwp( 95 )
현대의 간척사업으로 굴도가 육지와 연결된 후인 1984년도에 서산문화원에서는 지역특산물 보존사업의 일환으로 굴도 어리굴젓의 맛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