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혁신 종합 추진전략(戰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6 00:14
본문
Download : 20050930.jpg
산자부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공동으로 산·학·연 전문가 및 실무자 등 200여명과 미국 텍사스오스틴 대학의 테사르 교수 등 해외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제조혁신 국제포럼’을 30일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개최하고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세부적인 추진전략(strategy)을 수립한다.
제조혁신 종합 추진전략
순서





산업자원부는 29일 △협업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확립 및 온오프라인의 기반 인프라 구축 △업종별 제조혁신 인프라 확산 및 활성화 △글로벌 제조환경 지원을 위한 기반 마련 △기업의 기술전文化(문화) 유도와 기술협업 중심의 제품개발 혁신 지원 △전문인력 양성과 산업구조 개선을 통한 고용창출 확대 지원 등을 골자로 한 ‘제조혁신 종합 추진전략(strategy)’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설명
제조혁신 종합 추진전략(戰略)
Download : 20050930.jpg( 32 )
제조혁신 종합 추진전략(戰略)
협업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확립, 업종별 제조혁신 및 활성화 등 제조업을 고부가가치 선진 산업구조로 전환(e매뉴팩처링)시키기 위한 추진전략(strategy)이 마련된다된다.
다.
레포트 > 기타
주요 추진분야는 △ 제품개발 혁신 △프로세스 혁신 △협업 네트워크 혁신 △제조장비·설비혁신 △인력양성 혁신 △제조환경의 혁신으로 정하고 이를 중점 지원키로 했다.
제조혁신 종합 추진전략
이경우기자@전자신문, kwlee@
조환익 산자부 차관은 “e매뉴팩처링 기반구축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online 정보 인프라를 통해 기업의 제조 인프라 활용이 극대화될 것으로 확신하다”며 “제조혁신을 위한 전략(strategy)이 수립되면 국내산업 전반의 종합지원체제 구축 및 혁신모델 수립과 확산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