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어 및 표준China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특징 / 臺灣語 및 標準中國語와의 비교를 통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8 05:39
본문
Download :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특징.hwp
그러므로 대만어가 모어인 대만인들에겐 國語는 제2언어로서 실제 國語 사용시 모어인 대만어의 발음, 문법, 어휘 등의 간섭을 피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대만에서 표준으로 삼고 있는 ‘國語’ 역시 실생활에서는 대만화되어 표준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2.1. 時態를 나타내는 ‘有’
8. 맺는 말
5. 來 去 + 장소 문형의 多用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특징 / 臺灣語 및 標準中國語와의 비교를 통해
2.4. 의문문 文末에 사용되는 ‘沒’과 ‘不’
1. 이끄는 말
臺灣語 및 標準中國語와의 비교를 통해 본 臺灣國語 文法의 特徵 1...
7. 暫時相에 ‘一下’의 多用
臺灣語 및 標準中國語와의 비교를 통해 본
대만어는 南語 계통으로 민남의 彰州와 泉州에서 16·7 세기부터 이민온 사람들이 대다수를 이루어 현재는 이들 두 언어가 섞여 혼합되어 대만내에서 나름대로 대만화된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현재 대만...
순서
2. ‘有’의 다양한 용법
Download : 대만어 및 표준중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특징.hwp( 80 )
中文摘要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6. 보편화되지 않은 동사 + 着 문형
臺灣國語 文法의 特徵
1. 이끄는 말
4. 用 + 동사 + 的 구조 사용
2.3. 가능보어로서의 동사 + 有 沒有 형태
다. 표준중국어와 대만어의 문법적 특징을 대만국어와 상호 비교하여 대만국어의 특징이 과연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 규명하려 한다.
설명
臺灣語 및 標準中國語와의 비교를 통해 본 臺灣國語 文法의 特徵 1...
2.2. 형용사 앞에서 사용되는 ‘有’
대만어 및 표준China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특징 / 臺灣語 및 標準中國語와의 비교를 통해
대만은 현재 ‘國語’를 formula어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國語는 주지하다시피 중국 대륙의 표준어인 ‘普通話’와 비슷한 개념(槪念)으로 南語 계통인 臺灣語를 母語로 삼는 대만인들에게 蔣介石 government 가 강요한 언어이다. 본고에서 말하는 ‘臺灣國語’란 학교에서 배우는 표준중국어가 아니라 실제 생활 가운데 대만인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기로 하겠다.〈 目 次 〉
參考文獻
3. 正反疑問文에서 ‘不’ 앞에 위치한 두번째 음절 skip
본고는 대만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國語 가운데 문법 분야에만 한정하여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