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시대 車 선택기준 `연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3 11:33
본문
Download : 080414122205_.jpg
이를 위해 올해 8월부터 자동차의 등급 표시 방식을 단일군-5등급 체계로 전환하고 자동차의 CO
레포트 > 기타





13일 에너지관리공단(이사장 이기섭)이 내놓은 ‘2007년 자동차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판매된 승용차의 크기별 판매에서 경형 승용차가 5만3758대로 전년 대비 37.1% 증가했다.
설명
고유가시대 車 선택기준 `연비`
政府(정부)와 에너지관리공단은 지속되는 고유가와 기후變化(변화)협약에 대응해 경차와 소형차 등 효율이 우수한 승용차 수요 확대를 위해 제도적 장치를 보완할 계획이다.
순서
실제로 소형(1600cc급 자동)의 공인 연비는 13.8㎞/ℓ, 중형(2000cc급 자동)은 11.5㎞/ℓ, 대형(2700cc급 자동)은 9.7㎞/ℓ로 나타났다.
Download : 080414122205_.jpg( 43 )
고유가시대 車 선택기준 `연비`
由來 없는 유가 상승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자동차 시장에도 연비가 높은 경·소형차 판매가 대세로 자리잡았다.
이같은 경·소형 승용차의 수요 증가는 자동차 제조업체의 고연비 차량 개발을 부추기고 있다.
고유가시대 車 선택기준 `연비`
이같은 판매 추이는 유가 상승 등의 influence(영향)으로 연비가 우수한 차량에 대한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소형 승용차 역시 24만9637대로 전년에 비해 11.3% 늘어났다.
장성규 에너지관리공단 팀장은 “지난해 판매된 전체 승용 자동차의 평균(average) 연비는 11.04㎞/ℓ로 2006년도(10.76㎞/ℓ) 대비 2.6% 향상됐다”며 “평균(average) 연비 향상에 따라 총 3000만ℓ의 자동차 연료가 절약, 주유소 판매가 기준 약 483억원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따라서 지난해 국내에서 판매된 전체 승용차의 평균(average) 연비도 전년 대비 2.6% 향상됐다. 반면 중형 승용차는 43만4517대로 7.0%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대형 승용차는 전년 대비 6.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유가시대 車 선택기준 `연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