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언어론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3 13:37
본문
Download : 프로그래밍 언어론 - 프로그래밍 언어.hwp
프로그래밍 언어론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Fortran의 특징 중 배열, 제어변수를 쓰는 반복구조와 조건문에 의한 분기槪念등은 나중에 만들어진 언어에서 사용하며 기억장치 중심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범례가 되었다.
-프로그래밍 언어 중에 기계의존적인 이진수 槪念이거나 자연언어와 차이가 많은 언어이며 사람이 이해하기보다는 컴퓨터의 내부구조에 의존적인 언어를 저급언어라고 한다.
Download : 프로그래밍 언어론 - 프로그래밍 언어.hwp( 83 )
★종합적으로 볼 때 1955년부터 1960년까지는 Fortran, Cobol, Algol 60이 탄생한 시기이며, LISP와 같은 폰 노이만식 모델을 탈피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탄생한 괄목할 만한 시대였다.





2. 1960년대 :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출현
순서
프로그래밍 언어론에 관련된 report입니다
그림과 사진이 포함되어있고 열심히 작성한 report이며 교수님께 좋은평가를 받은 자료(資料)입니다.
-최초의 고급언어는 Fortran(FORmula TRANslation)이다.프로그래밍 언어론에 관련된 레포트입니다 그림과 사진이 포함되어있고 열심히 작성한 레포트이며 교수님께 좋은평가를 받은 자료입니다.
참고자료(資料)로 이용하셔서 좋은report 작성하세요~
-블록 구조를 쓰는 언어를 위하여 스택을 기반으로 하는 실행환경을 도입했고, 구문을 정이하기 위하여 BNF(Backus-Naur Forms)를 최초로 사용한 언어이기도 하다. LISP의 후예로 오늘날 인공지능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LISP는 폰 노이만 구조와 아주 다른 연산방식을 썼기 때문에 기존의 컴퓨터에서 효율적으로 실행되기가 어려웠다.
-수학적 응용분야에서 아직까지 쓰이고 있지만 주요 단점은 제어구조가 없으며, 특별한 단말기에만 존재하는 그리스 기호를 사용하고, 또한 APL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프로그래밍,프로그래밍 언어,프로그래밍 언어론
-Cobol(Common Business-Oriented Language) : Cobol의 설계목적은 프로그래머가 아닌 사용자도 프로그램을 읽은후 이해하기 쉽게 하겠다는 것이었다. 이 특징은 오늘날 데이터베이스 언어에서도 쓰이는 등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다.
-매우 특이할 만한 것으로 첫째, 자료를 구성하는 데 레코드 구조를 도입했고, 둘째, 자료구조와 실행부분을 분리했으며, 셋째, 픽처(PICTURE)를 써서 출력양식의 가변성을 부가했다.
-어셈블리 언어는 기계의존적이며 자연언어와 차이가 큰 구문을 사용했기 때문에 저급언어라 불린다. 예기치 않는 상호작용을 발생시켜 사용하는 데 오류발생이 빈번했다.
-하지만 PL/1 번역기는 작성하기가 어렵고, 방대했기 때문에 느리고, 신뢰할 수 없었다.
-IBM의 PL/1은 새로운 아이디어인 병행성(concurrency),예외처리기(exception handling), 기억장소 할당기법 등도 도입되었다.
.
-APL(Automatic Programming Language)은 배열과 행렬을 포함하는 수학적 연산을 쉽게 프로그래밍 하기 위한 언어로 IBM에서 제작했다.
-Algol 60(ALGOrithmic Language 60)은 알고리듬을 기술하기 위한 일반적인 표현언어로, 연구용 및 실질적인 응용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참고자료로 이용하셔서 좋은레포트 작성하세요~
-번역기술이나 실행속도 improvement(개선)이 함수언어나 함수적 기법을 상용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LISP의 effect(영향) 력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막강해지고 있다 지금은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고 있는 되부름의 원조도 LISP이다.
-Fortran이 오늘날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Fortran 컴파일러가 다른 고급언어에 비하여 효율적인 기계어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설명
1. 1950년대 : 최초의 프로그래밍 언어
-LISP(LISt Processor)은 일반적인 리스트 구조와 함수의 응용을 기본으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