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구덕의 종류 / 구덕의 종류 제주도에서 는 대나무로 역어 만든 장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5:55
본문
Download : [인문학] 구덕의 종류.hwp
물구덕 물 구덕은 물을 담은 물허벅을 옮기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정방향의 대나무 구덕에 물허벅을 넣고 짊어질수 있도록 맬끈을 고정하여 여인들이 짊어지고 물을 길러 날랐던 중요한 기구 였습니다. 이렇듯 제주도에는 구덕이라는 대나무 바구니를 만들어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
순서
설명
구덕의 종류 제주도에서는 대나무로 역어 만든 장방형의 바구니를 ‘구덕’...
인문학 구덕의 종류 / 구덕의 종류 제주도에서 는 대나무로 역어 만든 장방
![[인문학] 구덕의 종류-120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D%B8%EB%AC%B8%ED%95%99%5D%20%EA%B5%AC%EB%8D%95%EC%9D%98%20%EC%A2%85%EB%A5%98-1202_01.gif)
![[인문학] 구덕의 종류-1202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D%B8%EB%AC%B8%ED%95%99%5D%20%EA%B5%AC%EB%8D%95%EC%9D%98%20%EC%A2%85%EB%A5%98-1202_02_.gif)



구덕의 종류 제주도에서는 대나무로 역어 만든 장방형의 바구니를 ‘구덕’...
Download : [인문학] 구덕의 종류.hwp( 16 )
다. 송키구덕 이 구덕은 채소나 나물등을 담아놓는것으로 육지의 나물 바구니 혹은 채소바구니와 같은 것입니다. 육지의 다른 지방의 둥그런 바구니와 달리 제주도 구덕은 바닥이 네모지며 속이 깊은것이 특이 합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학] 구덕의 종류 / 구덕의 종류 제주도에서 는 대나무로 역어 만든 장방
구덕의 종류 제주도에서는 대나무로 역어 만든 장방형의 바구니를 ‘구덕’이라고 합니다. 서답구덕 이것은 서답 즉 빨래를 담는 구덕을 일컫는데 물구덕이나 애기구덕처럼 길다란 형태에비해 조금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구덕으로 그 크기도 조금더 크다 떡구덕 떡을 담아놓는 구덕을 말하며 육지의 떡함지박과 같은 용도 입니다 애기구덕 젖먹이 아기으 요람인 애기 구덕은 밭일이 많아 애기를 집에서 돌볼 시간이 없기때문에 애기구덕에 애기를 뉘어놓고 밭가에 놓고 밭일을 하였으며 발로 건드리기만 하여도 요람처럼 흔들려 아기가 울지않고 잘 놀았다고 합니다 바름구덕 이 구덕은 말 그대로 무엇인가를 발랐다는 말입니다 즉 구덕이 오래되어 헤지거나 헐게되면 그곳을 헝겁이나 종이로 안팎을 두세번 발라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양태구덕 양태구덕이란 갓의 일부분인 양태를 만들때 받치고 사용하던 물건으로 대나무로 마치 절구통처럼 엮어서 세운다음 그위에 양태판을 올려놓고 갓의 양태를 만들었다고 합니다.다음은 제주도에서 사용하였던 구덕의 종류와 명칭 입니다. 구덕은 그 사용처가 다양해서 물건을 옮기는데도 사용을 하였고 애기를 요람처럼 뉘이기도하며 씨앗이나 물건을 보관하는데도 사용되었으며 그 종류도 다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