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학의 현장론적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06 11:52
본문
Download : 풍수지리학의 현장론적 이해.hwp
풍수지리학의현장론적 , 풍수지리학의 현장론적 이해기타레포트 ,
풍수지리학의현장론적






풍수지리학에 관련되어 설명(說明)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풍수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음택입향법은 대체로 (1)망인의 생년에 따라 정하는 법(산지망명좌운법) (2)안산을 보고 정하는 법(대안입향법) (3)입수용맥의 좌우선에 따라 정하는 법(이룡정향법) (4)물의 득파를 보고 12포태법에 맞춰 정하는 법(의수배향법) (5)입수맥이 양용이면 양향(양수래거), 음용이면 음향(음수래거)으로 입향하는 방법(소위 정음정양법, 음양견향법) 중에서 어느 한 가지 방법을 쓰고 있다 그리고 입수용에 따른 입향길흉법(예컨대 일지대사입수법, 용향결 등)을 쓰는 사람도 간혹 있으며 또 어떤 지사는 버드나무 가지를 던져 혈처와 입향을 결정한다고 했다. 고인이 좋아하실 방향을 골라 그것으로 좌향을 삼으면 된다 바라보면 바로 이 방향의 경관이 고인이 가장 좋아하실…(투비컨티뉴드 )
다.
Download : 풍수지리학의 현장론적 이해.hwp( 31 )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설명
순서
풍수지리학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풍수지리학의 현장론적 이해
2) 바람직한 입향법
나침반의 해석에 이설이 분분하다 보니 그와 상관성이 큰 입향법 또한 자연 이설이 분분한 분야가 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풍수사가 현재 자기가 행하고 있는 입향법이 가장 옳다고 여기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창조 전서울대교수는 신동아 1997년 7월호 ‘참풍수’란 풍수기행문에서 “좌향의 결정도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