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Eric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3 01:32
본문
Download : 에릭슨[Eric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hwp
건강한 발달을 위해 중요한 것은 신뢰와 불신 사이의 적당한 비율인데, 물론…(투비컨티뉴드 )
(2)2단계:자율성 대 수치와 회의(Autonomy vs Shame and Doubt)(1~3세)
순서
![에릭슨[Erickson]의%20사회심리발달이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EC%97%90%EB%A6%AD%EC%8A%A8%5BErickson%5D%EC%9D%98%20%EC%82%AC%ED%9A%8C%EC%8B%AC%EB%A6%AC%EB%B0%9C%EB%8B%AC%EC%9D%B4%EB%A1%A0_hwp_01.gif)
![에릭슨[Erickson]의%20사회심리발달이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EC%97%90%EB%A6%AD%EC%8A%A8%5BErickson%5D%EC%9D%98%20%EC%82%AC%ED%9A%8C%EC%8B%AC%EB%A6%AC%EB%B0%9C%EB%8B%AC%EC%9D%B4%EB%A1%A0_hwp_02.gif)
![에릭슨[Erickson]의%20사회심리발달이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EC%97%90%EB%A6%AD%EC%8A%A8%5BErickson%5D%EC%9D%98%20%EC%82%AC%ED%9A%8C%EC%8B%AC%EB%A6%AC%EB%B0%9C%EB%8B%AC%EC%9D%B4%EB%A1%A0_hwp_03.gif)
![에릭슨[Erickson]의%20사회심리발달이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EC%97%90%EB%A6%AD%EC%8A%A8%5BErickson%5D%EC%9D%98%20%EC%82%AC%ED%9A%8C%EC%8B%AC%EB%A6%AC%EB%B0%9C%EB%8B%AC%EC%9D%B4%EB%A1%A0_hwp_04.gif)
![에릭슨[Erickson]의%20사회심리발달이론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EC%97%90%EB%A6%AD%EC%8A%A8%5BErickson%5D%EC%9D%98%20%EC%82%AC%ED%9A%8C%EC%8B%AC%EB%A6%AC%EB%B0%9C%EB%8B%AC%EC%9D%B4%EB%A1%A0_hwp_05.gif)
![에릭슨[Erickson]의%20사회심리발달이론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EC%97%90%EB%A6%AD%EC%8A%A8%5BErickson%5D%EC%9D%98%20%EC%82%AC%ED%9A%8C%EC%8B%AC%EB%A6%AC%EB%B0%9C%EB%8B%AC%EC%9D%B4%EB%A1%A0_hwp_06.gif)
에릭슨[Eric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
에릭슨,Erickson,사회심리발달이론,인문사회,레포트
다. 이 시기의 주된 발달 위기는 영아가 신뢰할 수 있는냐 없느냐 여부에 관한 것으로, 어머니의 관여가 이 신뢰의 초점이 된다 신뢰감은 다른 사람에 대한 믿음과 자신에 대한 믿음을 포함한다.
Download : 에릭슨[Eric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hwp( 72 )
에릭슨[Eric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 , 에릭슨[Eric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인문사회레포트 , 에릭슨 Erickson 사회심리발달이론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에릭슨[Eric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
에릭슨(Eric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理論)
?
?
발달 단계
(1)1단계:기본적 신뢰 대 불신(Trust vs Mistrust)(출생~1세)
제1단계는 Freud의 구강기에 해당되는 시기로서 출생에서 약 1세까지이다.그러나 Erikson은 완전한 신뢰감만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이 시기에 아기를 돌보아 주는 사람(주로 어머니)이 영아의 신체적, 심리적 욕구를 잘 충족시켜 주면 아기는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고, 만약 아기의 욕구가 잘 충족되지 않으면 아기는 불신감을 갖게 된다 자신의 기본적인 욕구가 일관되게 충족되는 예측 가능한 안전한 세계에서 사는 것이 이상적인 삶이다. 따라서 건강한 자아발달과 성장을 위해서는 불신감도 경험해야 한다. 왜냐하면 사람이 살다보면 때로는 불신도 필요하기 때문일것이다 지나친 신뢰는 아동을 너무 순진하고 어수룩하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