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 실험보고서 - Electromyogram, EMG (근전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2 00:06
본문
Download : [의학,약학] 실험보고서 - Electromyogram, EMG (근전도).hwp
아주 약한 전위차이기 때문에 증폭시켜서 기록하여야 한다.
[의학,약학] 실험보고서 - Electromyogram, EMG (근전도) , [의학,약학] 실험보고서 - Electromyogram, EMG (근전도)기타실험과제 , 의학 약학 실험 Electromyogram EMG 근전도
[의학,약학] 실험보고서 - Electromyogram, EMG (근전도)
의학,약학,실험,Electromyogram,EMG,근전도,기타,실험과제
[의학,약학] 실험보고서 - Electromyogram, EMG (근전도)
Download : [의학,약학] 실험보고서 - Electromyogram, EMG (근전도).hwp( 68 )
순서
설명
실험과제/기타
Electromyogram, EMG (근전도)
━━━━━━━━━━━━━━━━
1. test(실험) 목적
- EMG를 통한 표면 근전도 分析(분석)방법 조사 및 간략한 分析(분석)
2. test(실험) 장비
① EMG
② Electrode
③ EMG파형 출력장치(PC)
3. theory 개요
- 근전도란
근육이 수축할 때에 신경자극에 의해 뉴런의 탈분극이 일어나 활동전위가 발생한다.
- 근전도의 종류
①일반 근전도(nEMG) : 근육 내에 침전극을 삽입하여 안정시, 수의운동시의 근육활동 전압이다.
②표면 근전도(sEMG) : 피부표면에 전극을 부착하여 무통증,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측정(測定) 된 …(skip)
![[의학,약학]%20실험보고서%20-%20Electromyogram,%20EMG%20(근전도)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Electromyogram,%20EMG%20(%EA%B7%BC%EC%A0%84%EB%8F%84)_hwp_01.gif)
![[의학,약학]%20실험보고서%20-%20Electromyogram,%20EMG%20(근전도)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Electromyogram,%20EMG%20(%EA%B7%BC%EC%A0%84%EB%8F%84)_hwp_02.gif)
![[의학,약학]%20실험보고서%20-%20Electromyogram,%20EMG%20(근전도)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Electromyogram,%20EMG%20(%EA%B7%BC%EC%A0%84%EB%8F%84)_hwp_03.gif)
![[의학,약학]%20실험보고서%20-%20Electromyogram,%20EMG%20(근전도)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98%ED%95%99,%EC%95%BD%ED%95%99%5D%20%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20-%20Electromyogram,%20EMG%20(%EA%B7%BC%EC%A0%84%EB%8F%84)_hwp_04.gif)
다. 그리고 이러한 근섬유에 전자기장이 형성된다
이런 전자기장에 전극(Electrode)을 위치시켜 활동전위의 전위차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활동전위는 운동종판에 전달되고, 운동종판에 연접된 근섬유를 자극 한다.
그러면 운동단위가 지배하는 모든 근섬유에 수축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때, 근섬유 연접부의 막이 자극이 되고, 근섬유에 탈분극이 발생하여, 근섬유막의 내외부 전하를 바뀌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