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교육학] 교육의 개념(槪念)적 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9 03:51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교육학] 교육의 개념적 기준(2).hwp
. 중요한 것은 용어의 용도중에서 근본적인 것과 지엽적인 것을 분간하고 어떤 용어를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때 그 용도사이의 같은 점 뿐만아니라 다른 점도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이 지적한 의미에 관한 사람들의 오류-
모든 단어는 사물의 이름이 그 전형적인 지시대상과 관련하여 의미…(To be continued )
2.교육의 규범적 측면
(가)교육의 과업?성취分析(분석)
①성취어는 과업어의 활동이나 과정이외의 부가적 활동이나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교육이란 말의 core적 어의에 부합하는 사용기준이 없다는 뜻은 아닐것이다.
③교육이란 말이 어떤 특수한 상황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듯이 교육이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있는 것에도 수많은 종류의 성취, 가치있는 정신상태가 포함되어있다아 이것이 교육목적에 관한 논의가 분분한 근본적 이유이다. . 그러나 교육의 경우에는 그런뜻이 들어있다아 왜냐하면 누구를 교육한다고 하는 것은 비단 어떤 일을 성취했다는 것만이 아니라, 그일이 가치있는 일이라는 것을 의미하다.
3.교육의 인지적 측면
(가)지식과 이해
순서
[사회과학][교육학] 교육의 개념(槪念)적 기준
[사회과학][교육학] 교육의 개념(槪念)적 기준
[사회과학][교육학] 교육의 개념적 기준 , [사회과학][교육학] 교육의 개념적 기준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교육학 교육 개념적 기준
설명
사회과학,교육학,교육,개념적,기준,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사회과학][교육학] 교육의 개념적 기준(2).hwp( 41 )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교육학]%20교육의%20개념적%20기준(2)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A%B5%90%EC%9C%A1%ED%95%99%5D%20%EA%B5%90%EC%9C%A1%EC%9D%98%20%EA%B0%9C%EB%85%90%EC%A0%81%20%EA%B8%B0%EC%A4%80(2)_hwp_01.gif)
![[사회과학][교육학]%20교육의%20개념적%20기준(2)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A%B5%90%EC%9C%A1%ED%95%99%5D%20%EA%B5%90%EC%9C%A1%EC%9D%98%20%EA%B0%9C%EB%85%90%EC%A0%81%20%EA%B8%B0%EC%A4%80(2)_hwp_02.gif)
![[사회과학][교육학]%20교육의%20개념적%20기준(2)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A%B5%90%EC%9C%A1%ED%95%99%5D%20%EA%B5%90%EC%9C%A1%EC%9D%98%20%EA%B0%9C%EB%85%90%EC%A0%81%20%EA%B8%B0%EC%A4%80(2)_hwp_03.gif)
![[사회과학][교육학]%20교육의%20개념적%20기준(2)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A%B5%90%EC%9C%A1%ED%95%99%5D%20%EA%B5%90%EC%9C%A1%EC%9D%98%20%EA%B0%9C%EB%85%90%EC%A0%81%20%EA%B8%B0%EC%A4%80(2)_hwp_04.gif)
![[사회과학][교육학]%20교육의%20개념적%20기준(2)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A%B5%90%EC%9C%A1%ED%95%99%5D%20%EA%B5%90%EC%9C%A1%EC%9D%98%20%EA%B0%9C%EB%85%90%EC%A0%81%20%EA%B8%B0%EC%A4%80(2)_hwp_05.gif)
다. 즉, 교육은 노력의 뜻과 성공의 뜻을 모두 포함한다. 그러나 성취가 반드시 가치있다거나 과업이 도덕적으로 옳다는 뜻이 들어있는 것은 아닐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 일을 하는 방법이 도덕적으로 理論(이론)의 여지가 없어야 한다는 뜻도 그 속에 들어있다아
②또한 교육이란 말은 성취뿐만 아니라 여러 중류의 과업도 포함한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은 이들의 생각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했다. 용어의 사용기준을 formula(공식)화하는 일은 용어의 여러 가지 용도를 함께 묶는 그 용어의 명백한 의미를 제시하려는 노력이다.
교육의 concept(개념)적 기준
1.교육의 concept(개념)
철학자들이 다루어온 定義(정의)나 지식과 같은 말은 여러 가지 상이한 용도를 가지고 있으며 소크라테스에서 무어에 이르기까지 철학자들은 이런 여러 가지 용도를 formula(공식)화하려 했다. 왜냐하면 말의 용도는 하나의 定義(정의)로 포괄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복잡한 유사성으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일것이다교육이라는 용어(활동으로서의 교육이 아닌 용어로서의 교육)의 용도 또한 명확한 定義(정의)로 포괄될 수 없는 용도가 있음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