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국어 학습장애 / 학 습 장 애 Ⅰ. 학습장애의 개념 및 定義(정이) 1. 학습장애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0 09:26
본문
Download : 국어 학습장애.hwp
비록 학습장애가 다른 장애 조건, 즉 감각장애, 정신지체, 사회 및 정서장애나 environment(환경) 적 影響(영향)(culture 차이, 부적절한 지도, 심리 언어적 요인)과 더불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조건이나 影響(영향)이 직접적인 요인은 아닐것이다. 특정학습장애에는 인지장애, 뇌손상장애, 미세뇌기능장애, 난독증, 발달상 실어증 등과 같은 장애를 포함한다.” (3) 1977, 연방政府(정부) - PL. 94-142 ①만일 학생에게 적당한 학습경험을 제공하였으나 한 가지 이상의 여러 가지 특별한 영 역에서 나이와 그 능력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아동 ②다음의 영역, 즉 구어표현, 듣기, 이해력, 작문, 기본적인 읽기 기능, 읽기 이해력, 산 수계산, 수리적 추리 중 한 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성취도와 지적 능력 사이에 심한 불 일치가 있는 아동 (4) 1987, NJCLD 정의(定義) “학습장애는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추리 혹은 수학적 능력 등의 습득과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여러 가지 이질적인 장애집단을 말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Download : 국어 학습장애.hwp( 32 )
[인문사회] 국어 학습장애 / 학 습 장 애 Ⅰ. 학습장애의 개념 및 定義(정이) 1. 학습장애의
인문사회 국어 학습장애 / 학 습 장 애 Ⅰ. 학습장애의 개념 및 정의 1. 학습장애의





학 습 장 애 Ⅰ. 학습장애의 개념 및 定義(정이) 1. 학습장애의 定義(정이) (1)...
학 습 장 애 Ⅰ. 학습장애의 개념 및 정의 1. 학습장애의 정의 (1)...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순서
학 습 장 애 Ⅰ. 학습장애의 관념 및 정의(定義). 학습장애의 정의(定義) (1) 1963, Samuel Kirk “학습장애란 맹·농과 같은 감각장애나 일반적인 정신지체가 아니면서 사회적 상호작용에 필요한 언어, 읽기, 말, 의사소통 기술 등의 발달에 장애가 있는 것” (2) 1968, 연방政府(정부) - 장애아 전국 자문위원회 “‘특정학습장애’는 구어나 문어를 이해하고 관련된 기본적인 심리학적 과정에서 한 가지 이상의 장애를 의미하며, 이것은 듣기, 쓰기, 읽기, 사고, 철자사용 및 산수계산 등에서 불완전한 능력을 나타낸다. 이 장애는 개인 내적인 것이며, 중추신경계 장애 때문인 것으로 가정한다. .” 장애요인을 포함시키고 철자장애를 제외시키고 있으며, 기초심...
다. 이 용어는 일차적으로 시각, 청각 혹은 운동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environment(환경) ·culture 혹은 경제적인 실조로 인한 학습문제 아동은 포함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