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 기원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4 02:18
본문
Download : 청동기_기원에_.hwp
이 청동기는 시베리아 뿐만 아니라 우랄(Ural)을 넘어 동유럽에까지 널리 애용되었다고 한다. 서양에서는 청동 단추(bronze button)이라고 불린다. 이 청동기는 타가르로 이어졌는데, 이 圓形銅飾은 대개 직경이 작은 소형이고 때로는 약간 큰 것이 보인다. 카라숙 청동기 중에 작은 구슬을 꿰어 맨 듯한 형식의 聯珠形銅飾은 앞에서의 안드로노보 청동 文化(문화)에도 있었던 것인데, 카라숙을 거쳐 타가르 그리고 오르도스와 요령 청동文化(문화)에 전해졌다. 이런 청동기는 중앙 러시아의 세이마(Seima) 청동기 文化(문화)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고 있따[그림3]
청동기 고대역사 고대사
설명
()
청동기 고대역사 고대사 / 金廷鶴(1990), ꡔ韓國民族 및 文化의 起源ꡕ, 韓國上古史硏究. 이영문(1991), ꡔ韓半島 出土 琵琶形銅劍 形式分類 試論ꡕ, 박물관기요7. 李鍾善(1990), ꡔ細形銅劍文化의 地域的 特性ꡕ, 한국 상고사학보3. 이청규(1991), ꡔ遼寧지방 청동기 연구의 몇가지 문제ꡕ, 박물관 기요7. 李亨求(1984), ꡔ靑銅器文化의 비교Ⅰ(東北亞와의 비교)ꡕ, 한국사론13. 李亨求(1984), ꡔ靑銅器文化의 비교Ⅱ(中國과의 비교)ꡕ, 한국사론13. 사회과학출판사(1984), ꡔ조선의 청동기 시대ꡕ.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청동기 기원에 대한 고찰
다. 이 카라숙의 銅泡는 한면이 안으로 들어가 있고, 그 들어간 쪽의 중앙에 아치형의 單鈕가 달려있는 특징이 있따
이청규(1991), ꡔ遼寧지방 청동기 연구의 몇가지 문제ꡕ, 박물관 기요7.
사회과학출판사(1984), ꡔ조선의 청동기 시대ꡕ.
이영문(1991), ꡔ韓半島 出土 琵琶形銅劍 形式分類 試論ꡕ, 박물관기요7.
李亨求(1984), ꡔ靑銅器文化의 비교Ⅱ(中國과의 비교)ꡕ, 한국사론13.
순서
청동기 고대역싸 고대사 / 金廷鶴(1990), ꡔ韓國民族 및 文化의 起源ꡕ, 韓國上古史硏究.
Ⅰ. 시베리아 계통설
카라숙 청동기에 있어서 曲背內彎刃刀子가 많이 제작되었는데, 여기서의 특징은 動物 意匠의 頭部를 조각한 것이다. 오르도스 청동文化(문화)와 요령 청동文化(문화)에 있어서도 이러한 카라숙의 圓形銅飾이 많이 발견되는데, 적합한 용어는 아니지만, china 고고학에서는 이를 泡 또는 銅泡라고 부른다.
李鍾善(1990), ꡔ細形銅劍文化의 地域的 特性ꡕ, 한국 상고사학보3.
李亨求(1984), ꡔ靑銅器文化의 비교Ⅰ(東北亞와의 비교)ꡕ, 한국사론13.
Download : 청동기_기원에_.hwp( 82 )
Ⅲ. 비판 및 結論(결론)
Ⅱ. china 기원설
카라숙 청동文化(문화)의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單·圓形銅飾이 있는데, 우리가 흔히 銅鏡으로 알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