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상 해고시해고예고제도 - 해고예고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07 11:26
본문
Download : 근로기준법상해고시해고예고제도.hwp
레포트/법학행정
근로기준법상 해고시해고예고제도 , 근로기준법상 해고시해고예고제도 - 해고예고제도법학행정레포트 , 근로기준법상 해고시해고예고제도
다. 따라서 30일 미만으로의 단축은 무효이다.근로기준법상 해고시해고예고제도 - 해고예고제도



Download : 근로기준법상해고시해고예고제도.hwp( 67 )
근로기준법상 해고시해고예고제도
근로기준법상,해고시해고예고제도,법학행정,레포트
설명
순서
해고예고제도
Ⅰ. 들어가며
근로기준법은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하고자 할 때에는 적어도 30일 전에 그 예고를 하여야 한다.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한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따해고예고제도는 근로자를 해고하고자 할 경우에는 비록 정당한 이유가 있더라도 갑작스런 해고로 인해 생활기반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새로운 직장을 구할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부여하거나 그 기간 동안의 생계비를 지급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도이다.
② 예고의 방법
해고예고를 할 때에 해고 대상자 및 해고일시를 특정하여 예고를 하여야 한다. 또한 해당 근로자가 해고예고…(생략(省略))③ 예고기간 중 임금지급
2) 해고예고수당
① 의의
② 성질
① 부득이한 사유
② 사업계속의 불가능
3) 근로자의 고의로 사업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거나 재산상 손해를 끼친 경우
Ⅲ. 해고예고기간과 해고금지기간
1) 학설
2) 검토意見(의견)
Ⅳ. 해고예고의 적용제외
1) 일용근로자로서 3월을 계속근무하지 아니한 자, 2) 2월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사용된 자 3) 월급근로자로서 6월이 되지 못한 자 4) 계절적 업무에 6월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사용된 자, 5) 수습사용한 날로부터 3월이내인 수습근로자가 이에 해당된다
Ⅴ. 해고예고 위반의 효력
1) 학설
2) 검토意見(의견)
Ⅵ. 마치며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