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의 사회적 측면과 여성장애인 복지를 위한 전제, 현재상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6 06:08
본문
Download : 장애의 사회적 측면과 여성장애인 복지를 위한 전제, 현황.hwp
설명






Download : 장애의 사회적 측면과 여성장애인 복지를 위한 전제, 현황.hwp( 34 )
장애의 사회적 측면과 여성장애인 복지를 위한 전제, 現況
목차
Ⅰ. 장애와 여성장애인
1. 장애의 사회적 측면
· 신체손상
· 기능장애
· 사회적 불리
2. 여성장애인의 복지를 위한 전제
1) 자기결정권
2) 당사자 중심주의
3) 적극적 참여와 기회균등
Ⅱ. 여성장애인 現況
1. 장애인 現況 일반
2. 여성장애인 現況
*Reference List
I. 장애와 여성장애인
장애인을 어떻게 定義(정이)하느냐에 따라 여성장애인에 대한 concept(개념)과 정책적 접근
도 달라지게 된다 장애인의 concept(개념)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change(변화)하며 범위가 확대
되어 왔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도 1980년 국제장애분류
(ICIDH: Intem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를 통해 장애에 대한 concept(개념)을 확대하였고, 1997년부터는 장애(disablement)의 새
로운 concept(개념)과 분류기준을 마련하고 있다아…(생략(省略))
장애,사회적,측면과,여성장애인,복지를,위한,전제,인문사회,레포트
장애의 사회적 측면과 여성장애인 복지를 위한 전제, 현황 , 장애의 사회적 측면과 여성장애인 복지를 위한 전제, 현황인문사회레포트 , 장애 사회적 측면과 여성장애인 복지를 위한 전제
장애의 사회적 측면과 여성장애인 복지를 위한 전제, 현재상황
장애의 사회적 측면과 여성장애인 복지를 위한 전제, 현재상황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최근 들어 장애의 concept(개념)은 개인의 신체적 손상에서 사회적 제한으로
확대되고 있다아 UN(국제연합)은 1981년을 `세계 장애인의 해`로 정하고 개인의
신체적 손상(impairment), 능력장애(disability), 사회적 불리(handicap)로 구별
해야 할 必要性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