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아동 교육적 접근] 청각장애아 교수방법 - 독화 I. 단서 말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6 20:40
본문
Download : [청각장애아동 교육적 접근] 청각장애아 교수방법 - 독화.hwp
수신호는 말과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이것은 볼 ..
순서
[청각장애아동 교육적 접근] 청각장애아 교수방법 - 독화 I. 단서 말 ..
Download : [청각장애아동 교육적 접근] 청각장애아 교수방법 - 독화.hwp( 65 )
설명
다.
II. 촉각보조기구 사용 훈련
고도의 청각장애인의 독화에 대한 훌륭한 보조기구로, 단일 채널 촉각보조기구와 다채널 촉각보조기구가 있다아
이는 음향신호를 기계적 신호로 바꾸어 피부를 자극함으로써 촉감으로 말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청각장애아동,교육적,접근,청각장애아,교수방법,독화,I,단서,말,기타,방송통신
I. 단서 말 (cued speech). 말소리를 나타내는 수신호 단서와 함께 쓰이는 구어로 독화를 보충하여 향상시키는 절차이다. 자음들을 인지할 수 있게 8개의 손으로 만든 형태가 사용되고, 모음들을 인지하도록 네 곳의 위치가 사용된다 위치와 손 형태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은 음절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것들은 수화도 아니고 지문자도 아니며 혼자서는 쓰임새가 없다. 이것은 볼 .. , [청각장애아동 교육적 접근] 청각장애아 교수방법 - 독화 I. 단서 말 ..기타방송통신 , 청각장애아동 교육적 접근 청각장애아 교수방법 독화 I 단서 말
I. 단서 말
(cued speech).
말소리를 나타내는 수신호 단서와 함께 쓰이는 구어로 독화를 보충하여 향상시키는 절차이다.
III. 타도마법
말소리를 내도록 가르칠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독화, 발어 지도에 촉각을 이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아
말하는 사람의 뺨이나 입술 또는 목에…(생략(省略))
방송통신/기타
I. 단서 말 (cued speech). 말소리를 나타내는 수신호 단서와 함께 쓰이는 구어로 독화를 보충하여 향상시키는 절차이다. 단서 말을 사용하는 사람은 청각장애인이 아니라 청각장애인에게 말하는 건청인이다. 이것은 볼 근처에서 수신호 형태로 단서를 추가하는 것으로 독화로 구별하기 어려운 음소들을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어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