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15 03:06
본문
Download :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hwp
데카르트의 이성을 모든 철학적 작업의 유일한 안내자이다는 이성적 주체, 객체적 대상으로서의 자연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로 이는 ‘방법적 회의’에 대한 본유적인 것으로 전제하고, 또한 낙과론을 견지함으로서 그 결과 ‘합리론적’ 형이상학을 건설하게 된다 근세 철학의 특징은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의 합리론의 결함을 깬 영국 경험론에서 본격적으로 개진된다 로크의 메타적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근세 철학의 주류를 인식론적으로 규정짓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철학의 核心(핵심)은 이성의 능력에 대한 메타적 자기 비판으로서의 인식론이고 인…(skip)
2) 인식론에서 해석학으로 : 교화의 철학
3) 포스트 모던 부르주아 자유주의
4) 비판과 함의
2. 라캉과 하버마스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
Download :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hwp( 22 )
순서
로티,라캉과,하버마스와,포스트,모던주,철학,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 ,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인문사회레포트 , 로티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 철학
레포트/인문사회
다. 로티 및 라캉과 하버마스와 포스트 모던주의 철학
1. 로티의 포스트 분석 철학
1) 인식론으로서의 근?현대 철학
일반적으로 데카르트는 서양 근세 철학의 아버지라 불린다.이러한 경험론의 전개는 흄에 와서 우리가 경험적으로 주어진 것을 넘어서 그 이상을 인식하려고 하면 오류에 빠진다라는 회의론에 빠지게 된다 이 회의론을 적극적으로 수용, 극복해서 인식과 학문 일반의 가능성을 이성의 차원에서 새로이 그 확실성을 굳건한 토대위에 세운 사람이 칸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