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적”와 “착”의 용법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1 03:38
본문
Download :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적”와 “착”의 용법 고찰.hwp
3.1 명사로 사용된 경우
着가 명사로 쓰일 때 현대中國어에서와 마찬가지로 “바둑, 장기를 둘 때의 수”의 의미로 쓰였으며 다만 현대中國어에서는 兒化되었다는 점만이 다르다고 하겠다.설명
3. 着의 용법 “着”는 『노박』에서 여러 가지 통사적 성격과 풍부하고 다양한 어법의미를 드러내는데 “的”와 마찬가지로 출현빈도가 상당히 ... ,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적”와 “착”의 용법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3. 着의 용법
“着”는 『노박』에서 여러 가지 통사적 성격과 풍부하고 다양한 어법의미를 드러내는데 “的”와 마찬가지로 출현빈도가 상당히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적”와 “착”의 용법 고찰






3. 着의 용법
“着”는 『노박』에서 여러 가지 통사적 성격과 풍부하고 다양한 어법의미를 드러내는데 “的”와 마찬가지로 출현빈도가 상당히 높다. 여기서는 먼저 통사적으로 크게 구분한 다음 언어environment과 결합하여 이들의 어법기능 및 사휘의미를 설명(explanation)하고자 한다. 이러한 예는 『박통사』에서만 두 번의 예가 보인다. “着”의 통사적 성격은 『노박』에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문장 안에서의 의미 역시 대단히 풍부하고 다양하다. 근대中國어 시기에 “着”의 독음과 자형은 그 통사적 성격에 따라 매우 여러 가지였는데 『노박』에서는 자형상으로는 “着” 하나만이 출현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66) 這一着好利害(…(省略)
Download :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적”와 “착”의 용법 고찰.hwp( 90 )
다. “着”는 『노걸대』에서는 모두 258번, 『박통사』에서는 모두 296번 출현한다. 『노박』에서 “着”는 통사적 성격면에서 古今이 대체로 일치하여 명사, 동사, 전치사, 조사, 어기사 등의 용법으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