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31 04:40
본문
Download :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hwp
그러나, 당시만 해도 …(省略)
1. 연구 배경
2. 연구 동향
(1) 주민구성문제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 ,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사회 북한 발해사 인식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hwp( 67 )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
![[인문][사회]%20북한의%20발해사%20인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B%B6%81%ED%95%9C%EC%9D%98%20%EB%B0%9C%ED%95%B4%EC%82%AC%20%EC%9D%B8%EC%8B%9D_hwp_01.gif)
![[인문][사회]%20북한의%20발해사%20인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B%B6%81%ED%95%9C%EC%9D%98%20%EB%B0%9C%ED%95%B4%EC%82%AC%20%EC%9D%B8%EC%8B%9D_hwp_02.gif)
![[인문][사회]%20북한의%20발해사%20인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B%B6%81%ED%95%9C%EC%9D%98%20%EB%B0%9C%ED%95%B4%EC%82%AC%20%EC%9D%B8%EC%8B%9D_hwp_03.gif)
![[인문][사회]%20북한의%20발해사%20인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B%B6%81%ED%95%9C%EC%9D%98%20%EB%B0%9C%ED%95%B4%EC%82%AC%20%EC%9D%B8%EC%8B%9D_hwp_04.gif)
![[인문][사회]%20북한의%20발해사%20인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5B%EC%82%AC%ED%9A%8C%5D%20%EB%B6%81%ED%95%9C%EC%9D%98%20%EB%B0%9C%ED%95%B4%EC%82%AC%20%EC%9D%B8%EC%8B%9D_hwp_05.gif)
[인문][사회] 북한의 발해사 인식
순서
다.
인문,사회,북한,발해사,인식,인문사회,레포트
북한의 발해사 인식
북한의 발해사 연구는 두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아 첫째는,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한 독립국가라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고, 둘째는 한국사의 정통성을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에서 찾아, 신라사 위주의 신라 중심적 남한 학계와 差別(차별) 성을 두려는 것이다. 첫째의 문제는 남북한이 서로 공통점을 갖는 부분이다.
북한의 발해사 연구에서 최초의 논문을 작성한 이는 박시형이다. china(중국) 이 발해를 당나라의 `지방정권`이었던 `홀한주도독부`로 간주하고 china(중국) 사의 일부로 보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둘째의 문제는 북한이 남쪽의 통설인 `통일신라`를 부정하고 `후기신라`로 규정짓고 `발해와 후기신라`라 하면서 발해를 앞세우고 있는 것이 다르다. 박시형이 제시한 발해사의 기본적인 연구방향은 주영헌 등에 의해 고고학적으로 뒷받침되어, 조중공동발굴보고서를 시발로 {발해문화}에서 집대성되었다.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