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 민족주의와 합리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13 14:54
본문
Download : 동학 민족주의와 합리성.hwp
“연꽃이 물에 거꾸로 서... , 동학 민족주의와 합리성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다.






수운의 漢詩인 「詠宵」는 상보적 합리성이 인간의 審美的 감각을 자극할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연꽃이 물에 거꾸로 서...
설명
수운의 漢詩인 「詠宵」는 상보적 합리성이 인간의 審美的 감각을 자극할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杜鵑花는 웃는데 두견새는 울고 (···) 백로가 강 건널 때 제 그림자 타고 간다. “연기가 가는 길을 가리웠으나 밟아도 자취 없고, 구름이 봉우리 위에 덮였으나 한 자도 높아지지 않네. 산에 사람이 많이 있다 해서 신선이라 이를 수 없고, 十字가 돌아가며 丁字가 되어도 軍士라고 할 수 없네.” 「詠宵」 ꡔ東經大全ꡕ.
蓮花倒水魚爲蝶 魚變成龍潭有魚 山在人多不曰仙 花扉自開春風來
月色入海雲亦地 風導林虎故從風 十爲皆丁未謂軍 竹籬輝疎秋月去
杜鵑花笑杜鵑啼 風來有迹去無迹 月夜溪石去雲數 影沈綠水衣無濕
鳳凰臺役鳳凰遊 月前顧…(省略)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동학 민족주의와 합리성.hwp( 73 )
순서
동학 민족주의와 합리성
수운의 漢詩인 「詠宵」는 상보적 합리성이 인간의 審美的 감각을 자극할 수 있음을 잘 보여준다. “연꽃이 물에 거꾸로 서니 고기가 나비 되고, 달빛이 바다에 비치니 구름 또한 땅이로다. 때문에 그는 이렇게 노래했다.” 「詠宵」의 이 구절은 對極的인 한 쌍의 兩面으로 이루어진 사물의 이치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아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양 이원적 사고방식이 수운에게 있어 상대주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