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선박 - 판옥선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0 05:05
본문
Download : 한국의배-판옥선에관하여.hwp
이때 상황을 충무공은 장계를 통해 선조에게 보고하게 되는데 이를 analysis(분석) 해 보면 옥포해전에서는 판옥선 28척과 협선 17척, 포작선(어선) 46척을 거느리고 출동 하였다. 이에 반해 조선 후기의 법전인 대전회통에는 전선, 방선, 병선으로 군함 종류를 구별하고 있따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 수군의 주력 군함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판옥선(板屋船)이다. 충무공은 5월 4일 출전하여 5월 8일 옥포만에서 적 선단을 포착 26척을 격침시켰다. 임진왜란 당시에는 판옥선, 판옥전선, 전선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웠다. 이때 포작선과 협선은 전열함으로 볼 수 없으며 실제 전투시 에는 판옥선이 주력이 된다 또한 판옥선의 위력을 간접적으로 말해주…(To be continued )
다. 《임진왜란에서 첫 해전은 개전후 25일만에 있었던 옥포해전이다.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 수군의 주력군함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판옥선이다.판옥선,선박,크기,개발,승선,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한국의배-판옥선에관하여.hwp( 40 )






1. 판옥선이란?, , 2. 판옥선의 개발 과정, , 3. 판옥선의 구조, , 4. 판옥선의 크기와 승선인원, FileSize : 41K , 한국의 선박 - 판옥선에 관하여공학기술레포트 , 판옥선 선박 크기 개발 승선
설명
1. 판옥선이란?, , 2. 판옥선의 개발 과정, , 3. 판옥선의 구조, , 4. 판옥선의 크기와 승선인원, filesize : 41K
순서
한국의 선박 - 판옥선에 관하여
1.판옥선이란? 판옥선의 의미는 배위에 전투를 지휘하는 사령관의 누각이 있었기 때문에 불리워진 이름이다. 임진왜란 당시의 판옥선은 조선 전기의 대맹선과는 전혀 다른 배이며, 대략 조선 후기의 전선(戰船)에 해당한다. 임진왜란에서의 판옥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