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유지 관리 공학 - 콘크리트의 중성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6 18:04
본문
Download : 건축물 유지 관리 공학 - 콘크리트의.pptx
C : 중성화 깊이
할렬면으로 한다.
3.측정(測定) 부위가 젖어 있으면 표면을 완전히 건조시킨다.
t : 콘크리트 내 깊이 C까지의 중성화기간(년)
2.압축공기 등을 이용하여 측정(測定) 부위를 깨끗하게 청소한다.
4.측정(測定) 부위에 1%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분무기로 분무한다. )
A : 중성화 계수 (A는 시멘트의 종류, environment(환경) 조건, 혼화재료, 표면 마감재 등에 따른 상수로서
1%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7.측정(測定) 부위, 철근의 피복두께, 철근의 부식상태를 도면에 표시하고 사진을 촬영한다.
중성화 깊이는 측정(measurement)면에서 시약을 분무해서 콘크리트표면에서
식2) C = A
건축물 유지 관리 공학,콘크리트의 중성화
Download : 건축물 유지 관리 공학 - 콘크리트의.pptx( 88 )
1.측정(測定) 부위를 드릴로 천공하거나 정으로 쪼아내거나 코어를 채취한다.
6.중성화 깊이는 조사부위마다 3군데를 ㎜단위로 측정(測定) 하여 mean(평균)값으로 한다. )
A : 중성화 계수 (A는 시멘트의 종류, environment(환경) 조건, 혼화재료, 표면 마감재 등에 따른 상수로서
건축물 유지 관리 공학 - 콘크리트의 중성화
중성화 깊이 측정(measurement)은 콘크리트를 깨거나 혹은 절취한 공시체의
C : 중성화 깊이
중성화 깊이 측정(measurement)용 시약은 KSM 8006에 규정되어 있는
5.적색으로 착색되었다가 퇴색된 부분도 중성화 영역에 포함시킨다. 중성화 깊이 측정은 콘크리트를 깨거나 혹은 절취한 공시체의 할렬면으로 한다.





설명
식2) C = A
적색으로 착색되는 부분까지의 average(평균)거리를 구하여 중성화 깊이로 한다.
순서
하마다 박사의 實驗결과는 0.37을 주장하고 있다.
중성화 깊이 측정용 시약은 KSM 8006에 규정되어 있는 1%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t : 콘크리트 내 깊이 C까지의 중성화기간(년)
다.
하마다 박사의 實驗결과는 0.37을 주장하고 있다. 중성화 깊이는 측정면에서 시약을 분무해서 콘크리트표면에서 적색으로 착색되는 부분까지의 평균거리를 구하여 중성화 깊이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