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체계와 언어변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4 01:31
본문
Download : 언어체계와 언어변천 -언어상태, 유동성.hwp
동질체계의 전제조건은 무엇보다 독일어의 표준어화 과정이다.설명
Download : 언어체계와 언어변천 -언어상태, 유동성.hwp( 30 )
언언체계 언어변천 언어변화
순서
현대독일어가 하나의 언어상태로 정이될 수 있는가라는 문제는 그것이 하나의 동질체계homogenes System로 파악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그러나 언어사용과 언어alteration(변화) 의 지속성 또는 연속성을 고려한다면 언어alteration(변화) 의 요인은 언어상태에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각각의 언어상태는 그것이 정지개념(Sprachzustand als System)이든 또는 기간개념(Sprachzustand als Periode)이든 간에 언어변천에 있어서는 경과개념( bergang oder vor bergehendes)을 의미하기 때문일것이다 한편 이 경과개념은 유동성dynamische Mobilit t과 연관된다 이러한 유동성은 언어체계에 내재하는 구조alteration(변화) 적이며 의미alteration(변화) 적인 유동성sprachimmanente strukturelle und semantische Mobilit t을 나타낸다.
언언체계 언어변천 언어변화 / (언어)
언어체계와 언어변천
II. 언어상태로서의 현대독일어





언언체계 언어변천 언어변화 / (언어)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그러나 언어변천Sprachentwicklung의 관점에서 양자의 교차점Schnittpunkt에 대한 연구의 당위성 또는 피료썽이 제기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통시적 관점에서 보면 언어상태는 일정기간(z. B. modernes Deutsch)에 한정된 언어현상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언어는 alteration(변화) 한다는 사실이 선험적 또는 경험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언어체계Sprachsystem 안에서 언어alteration(변화) 의 유동성Mobilit t을 theory 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언어상태Sprachzustand의 개념정이가 논의될 수 있다. 따라서 공시적 언어학과 통시적 언어학의 결합 내지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의도적으로 기피하는 경향이 일반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언어학에서 언어상태는 일반적으로 체계언어학Sytemlinguistik의 기술을 위한 용어로 사용된다 즉 공시적 서술Synchronische Darstellung을 전제로 한 정지된 상태statischer Zustand를 의미한다. 이러한 언어상태는 해당기간 안에는 뚜렷하고 명확한 alteration(변화) (z. B. Ver nderung der Grammatik)가 theory 적으로 파악될 수 없음을 전제로 한다. 16세기 이래 진행된 표준어화 과정은 적어도 문어(Literatursprache oder Schriftsprache)의 경우 18세기에 비로소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정착되었다.
III. 언어상태와 언어alteration(변화) 의 연속성
5. 맺음말
II. 언어상태로서의 현대독일어
IV. 유동성과 호환성 - 규준Norm과 규칙성Regel
I. 언어상태
Saussure 이래 서구 언어학에서는 공시적 언어학Synchronie과 통시적 언어학Diachronie의 이율배반Antinomie이 암묵적으로 인정되어 왔으며, 그런 가운데 특히 공시적 언어학은 언어학 연구의 주류를 형성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