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과학에 대한 정의(定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3 17:01
본문
Download : .hwp
효율적 알고리즘은 종종 데이터를 적절한 데이터 구조로 조직하여 얻을 수 있다. 중요한 알고리즘들로는 목록 정렬, 데이터 검색, 형상 인식(본문에서 특정한 단어나 구절을 찾는 것), 난수 발생(모의test(실험) 등에서 사용됨) 등이 있다. 앞서 예를 든 2진 검색 알고리즘이 재귀적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예이다. 예를 들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검색의 경우를 살펴보면, 무작위적으로 배열된 N개의 대상에서 특정한 대상을 찾기 위해서는 순차적 검색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average(평균)검색 시간은 N에 비례한다. 그러나 만일 대상이 인식번호순으로 정렬되어 있으면 검색시간이 log2N에 비례하는 2진 검색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논할 때 대개의 경우 알고리즘에 기초한 프로그램(program]) 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억공간의 크기는 부차적인 것으로 취급한다. 컴퓨터 과학자들이 개발한 알고리즘 설계기법으로서 대표적인 각개격파(divide and rule) 기법은 문제를 하위문제들로 나누는 방법인데, 만일 하위문제가 원래 문제와 같은 성질을 지니면 전체 알고리즘을 재귀적으로 표현이 된다 .
Fundamental Structures of Computer Science : W. A. Wulf·M. Shaw·P. N. Hilfinger·L. Flon,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81
2)계산이론
컴퓨터과학 : 백두권·황종선 공편, 홍릉과학출판사, 1991
컴퓨터 과학 총론 : J. G. Brookshear, 권용래 역, 정익사, 1987
5)운영체계
컴퓨터 구조 : 김종상·이동호 공편, 희중당, 1992
Download : .hwp( 33 )
Data Structures and Algorithm Analysis : M. A. Weiss, Benjamin/Cumming Publishing Co., 1992
컴퓨터과학 컴퓨터구조 프로그래밍언어와방법론 인공지능 운영체계 / 컴퓨터 과학 개론 : 구용완, 대림, 1992
설명
3)컴퓨터구조
2. history(역사)
1. 개요
8)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개발과 분석
다. 이때 만일 N이 1,000에서 100만으로 증가하면 순차적 알고리즘이 요구하는 시간은 1,000배로 증가하지만 2진 알고리즘이 요구하는 시간은 단지 2배가 된다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Theory of Computation : D. Wood, Wiley, 1987
컴퓨터과학 컴퓨터구조 프로그래밍언어와방법론 인공지능 운영체계
Discrete Mathematical Structures for Computer Science : B. Kolman·R. C. Busby, Prentice-Hall, 1984
Developments in Expert System (Computer and People Series) : M. J. Coombs, Academic Press, 1984
3. 분야
An Introduction
Information RetrievalData Structures and Algorithms : W. B. Frakes·R. Baeza-Yates, Prentice-Hall, 1992
간결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강력한 기법으로는 알고리즘 자신이 수행과정에서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재귀(recursion)가 있다. 알고리즘은 컴퓨터 과학의 중심 관심사이기 때문에 많은 이론가들이 효율적인 알고리즘의 개발과 분석에 관심을 갖는다. 알고리즘의 효율성은 대개 특정한 크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측정(measurement)한다.





1) 알고리즘의 개발과 분석
7)수치계산
6)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Categorical Methods in Computer Science-With Aspects from Topology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393) : H. Ehrig, Springer-Verlag, 1989
4)프로그래밍 언어와 방법론
컴퓨터과학 컴퓨터구조 프로그래밍언어와방법론 인공지능 운영체계 / 컴퓨터 과학 개론 : 구용완, 대림, 1992 컴퓨터 구조 : 김종상·이동호 공편, 희중당, 1992 컴퓨터과학 : 백두권·황종선 공편, 홍릉과학출판사, 1991 컴퓨터 과학 총론 : J. G. Brookshear, 권용래 역, 정익사, 1987 Information RetrievalData Structures and Algorithms : W. B. Frakes·R. Baeza-Yates, Prentice-Hall, 1992 Data Structures and Algorithm Analysis : M. A. Weiss, Benjamin/Cumming Publishing Co., 1992 Categorical Methods in Computer Science-With Aspects from Topology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393) : H. Ehrig, Springer-Verlag, 1989 Theory of Computation : D. Wood, Wiley, 1987 Discrete Mathematical Structures for Computer Science : B. Kolman·R. C. Busby, Prentice-Hall, 1984 Developments in Expert System (Computer and People Series) : M. J. Coombs, Academic Press, 1984 Fundamental Structures of Computer Science : W. A. Wulf·M. Shaw·P. N. Hilfinger·L. Flon, Addison-Wesley Publishing Co., 1981 An Introduction
컴퓨터 과학에 대한 정의(定義)
알고리즘은 유한 개의 명확한 명령들의 집합으로서, 지정된 종류의 입력을 받아 문제의 해(解)가 되는 미리 정해진 출력을 산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목록 정렬 문제에 있어서 문제의 크기는 정렬될 대상의 개수이고 정렬 알고리즘의 효율성은 대상 개수의 함수로 표현한다. 컴퓨터 프로그램(program]) 은 알고리즘이 특정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부호화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