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은의 신앙적 의미에 관한 재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8 19:33
본문
Download : 사은의 신앙적 의미에 관.hwp
레포트 > 기타





1. 일원불과 그 진리적 구조
순서
5. 사은과 자아, 사은과 인과
1)일원불(一圓佛)
다. {원불교교헌}제3조에서는 [본교는 법신불 일원상을 본존으로 한다.] 라고 되어 있으며, 또 [교리도]에서는 최고 종지로서의 일원상(○)을 그려 놓고 그 아래,
2. 일원불과 사은
Ⅰ. 서언
라고 밝히고 있다아 즉 일원(一圓)은 개별현상이나
[일원은 법신불이니 우주만유의 본원이며 제불제성의 심인이며 일체중생의 본성이다.설명
원불교에서는 소태산 대종사의 대각에 의하여 천명된 일원상진리, 즉 일원불을 중심으로 신앙과 수행의 조화적 병진을 강조하고 있다아 그런데 원불교 교리의 진수를 총체적으로 집약하여 일목요연하게 도시한 [교리도]에서는 최고종지로서의 일원상(○)아래 신앙문과 수행문의 강령으로서 사은사요와 삼학팔조를 각각 제시하고 있으며, 또 {정전} 교의편에서는 그 일원상(일원불)과 사은사요(人生(인생)의 요도) 및 삼학팔조(공부의 요도)의 구체적 내용을 index로 설명하고 있다아 이처럼 일원불을 중심으로한 원불교의 종교적 실천노력으로서의 신앙문과 수행문의 양문 가운데 신앙문의 核心요소로서 천지 부모 동포 법률의 사은을 들지 않을 수 없다.
사은신앙 인원불 사은
사은신앙 인원불 사은 / ()
Download : 사은의 신앙적 의미에 관.hwp( 28 )
III. 사은의 신앙적 의미
Ⅱ. 일원불과 사은
사은신앙 인원불 사은 / ()
Ⅱ. 일원불과 사은
1. 광대무량한 일원불
Ⅳ. 결어
2. 일원불의 무한은혜덕상
4. 사은의 의미 및 상호관계
사은의 신앙적 의미에 관한 재인식
일원불과 사은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먼저 일원불의 의미 및 그 진리적 구조를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3. 은적 응화체로서의 사은
1. 일원불의 진리적 구조
본고의 서술은 먼저 제Ⅱ장에서 원불교의 근원적 진리인 일원상진리, 즉 일원불과 사은과의 관계를 살펴본 후, 다음 제Ⅲ장에서는 사은신앙의 기본적 의의 내지 그것의 일원불신앙상에 있어서의 위상, 그리고 사은과 자아, 또는 사은과 인과 및 불공에 관한 문제들을 중심으로 사은의 신앙적 의미를 검토하는 순으로 전개한다.]
사은신앙은 원불교 신앙의 독창적 특색의 하나라 볼 수 있는 바 이러한 사은신앙의 의의와 특징에 관하여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어 왔으나, 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토대위에 사은신앙에 있어 제기될 수 있는 몇가지 문제가되는점 들을 검토하여 봄으로써 일원불의 신앙성 제고에 적으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