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이동규칙과 구 이동규칙의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2 23:31
본문
Download : 20061m_youngamunzangguz.hwp
NP 이동 WH 이동 외치변형 Do 첨가 I 이동 / (영어문장구조론)
다.
2) WH-이동
3) Do-첨가
NP 이동 WH 이동 외치변형 Do 첨가 I 이동 / (영어문장구조론)
Ⅲ conclusion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3) 외치변형
Ⅱ 본론
핵이동규칙과 구 이동규칙의 차이
2) V-상승
1. 핵 이동규칙
순서
그러나 현재는 과거의 통사론 모델이 자연 언어의 특징적인 구성을 다루는 데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리구 이런 구성 통사론에 대한 원리적인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D-구조’라라고 알려진 추가적인 구조 층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우리는 어떤 언어에 대한 통사론이 충족적인 것이 되려면 그것이 하여야 할 일은 그 언어의 적격한 S-구조 일체를 성격지어야 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앞으로 본 레포트에서는 이 구조의 두 층위가 전문적으로 ‘변형(Transformation)이라고 알려진 일련의 이동규칙들에 의하여 상호 관계되어진다는 것과 V 이동, I 이동’, ‘NP 이동’, ‘WH 이동’, ‘외치’ 등을 포함한 몇 가지 변형규칙에 관해 논의해 볼 것이다. 우리는 어떤 언어에서 적격한 S-구조의 부류는 (ⅰ) 범주부와, (ⅱ) 어휘부를 포괄하는 문법의 ‘기저부’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범주부는 일련의 범주-중립적 X-bar 규칙 도식으로 구성되며, 어휘부는 그 언어의 개별 어휘항목과 결부된 범주적 자격과 문맥 제약을 명시해 준다.
1) NP-이동
Ⅰ 서론
NP 이동 WH 이동 외치변형 Do 첨가 I 이동





1) I-이동
Download : 20061m_youngamunzangguz.hwp( 36 )
2. 구 이동규칙
과거의 통사론에서는 단 하나의 층위, 즉 문장의 표면적인 통사적 구조를 나타내는 S-구조의 층위만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