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심판의 재결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9 09:46
본문
Download : 행정심판의 재결에 대한 연구.hwp
II. 재결의 절차
1. 재결기간
재결은 피청구인인 행정청 또는 위원회가 심판청구서를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하는 것이 원칙이나, 부득이한 사정이 있을 때에는 위원장이 직권으로 30일을 연장할 수 있다(심34①).
재결기간을 연장한 때에는 재결기간이 만료되기 7일 전까지 당사자에게 이를 통지하여야 한다(심34②).
2. 재결의 방식
재결은 일정한 사항을 기재한 서면으로 한다(심35①, ②). 재결서에 기재하는 이유에는 주문내용이 정당함을 인정할 수 있을 정도로 판단을 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것이나, 행소법상 재결 자체에 고유한 위법이 있는 경우에 한정된다는 제한이 있다(소19).
그리고 보통은 기속행위의 성질을 가진다.
3. 재결의 범위
1) 불고불리의 원칙
불고불리의 원칙이란 당사자의 청구…(투비컨티뉴드 )
다.행정심판의,재결에,대한,연구,법학행정,레포트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행정심판의 재결에 대한 연구
행정심판의 재결에 대한 연구
Download : 행정심판의 재결에 대한 연구.hwp( 33 )
행정심판의 재결에 대한 연구 , 행정심판의 재결에 대한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행정심판의 재결에 대한 연구
순서
행정심판의 재결에 대한 연구 (행정심판법)
I. 들어가며
1. 의의
재결이라 함은 “행정심판의 청구에 대하여 제5조에 따른 행정심판위원회가 행하는 판단”을 말한다(심2①).
2. 논점(법적 성질)
재결은 일정한 분쟁을 전제로 이를 판단·확정하는 행위로써, 준법률적 행정행위인 확인행위의 성질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