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집 간판 언어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20 10:07
본문
Download : 술집 간판 언어의 특징.hwp
술의 알코올 농도에 있어서 다른 주종에 비하여 강하기 때문에 강해보이는 언어를 쓰는 측면이 없지 않나 한다. 소주 전문점의 간판들을 보면 한문과 한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한문에 酒라는 글자를 이용한 간판들도 다수 볼 수 있다 소주는 원나라 때 몽고족에 의해 들어왔기 때문에 전통 주라 할 수가 없고 그러므로 순우리말 단어를 이용하여 간판언어를 쓰기에는 민속 주점과의 분별성이 없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국한문 혼용을 이용하여 장년층과 남성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것 같다.
예> 酒유소, 낮은 언덕, 팔도, 춘천 닭갈비, 유객주, 이화주점, 어쭈구리, 요모조모 등
③ 호프집 - 외래어
가장 많은 수의 술집을 차…(생략(省略))
설명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술집간판언어의특징 , 술집 간판 언어의 특징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다.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호프집과 민속주점과의 구별성과 쉽고 편하게 지을 수 있는 간판언어가 국한문의 혼용이기 때문에 그 점에서 손님들에게 어필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술집간판언어의특징
술집 간판 언어의 특징
Download : 술집 간판 언어의 특징.hwp( 88 )
② 소주 전문점 - 한문과 한글의 복합
일반적으로 소주 전문점의 주 고객층은 장년층이며, 여자보다는 남자가 또한 돈이 여유가 많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소주가 맥주에 비해서는 저렴한 것이 그 향유계층을 만들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