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實驗 - 표면거칠기 측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9 18:00
본문
Download : 기계공학실험 - 표면거칠기 측정.hwp
반대로 이송 속도를 느리게 하면 측정(測定) 기는 측정(測定) 하고자 하는 시편의 거칠기를 정확하게 측정(測定) 할 수 있다 이송속 도를 빠르게 하여 시편의 거칠기를 정확하게 측정(測定) 하지 못하게 되면 거칠기 그래프는 거칠게 나오게 된다. 이 그래프에서 보면 같은 시편으 로 거칠기 시험을 하였지만 그래프는 확연히 다르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프가 다르게 나 온다는 것을 통해 시편의 이송속도를 다르게 적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송속도를 빠르게 하면 측정(測定) 기가 측정(測定) 하고자 하는 시편의 거칠기를 정확하게 측정(測定) 하지 못하고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ROU1의 이송속도가 ROU2의 이송속도보다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요철의 평균간격 () 기준길이 내의 단면 요철간격을 평균한 것으로, 어느 정도 큰 요철의 평균간격을 나타내며 단면골과 단면산이 차지하는 중심선의 길이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 () 거칠기 곡선에서 기준길이부분에서 이웃한 국부 산봉우리 사이에 대응하는 평균선의 길이를 구하여 이 다수의 국부 산봉우리의 간격의 산술평균값을 미리미터(mm)로 나타낸 것
기계공학실험,표면거칠기 측정
기계공학實驗 - 표면거칠기 측정
2. , , , 를 계산 시 유효숫자의 반올림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1. 거칠기를 측정(測定) 시 순간적으로 공기중의 미세먼지 등 이물질이 거칠기를 측정(測定) 하고자 하는 재료에 붙어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 요철의 平均(평균)간격 ()
3. 거칠기를 측정(測定) 시 외부 힘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진동에 의해 거칠기값이 변하게 되어 오차가 발 생할 수 있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거칠기 곡선에서 기준길이부분에서 이웃한 국부 산봉우리 사이에 대응하는 平均(평균)선의 길이를 구하여 이 다수의 국부 산봉우리의 간격의 산술平均(평균)값을 미리미터(mm)로 나타낸 것
Download : 기계공학실험 - 표면거칠기 측정.hwp( 21 )
기준길이 내의 단면 요철간격을 平均(평균)한 것으로, 어느 정도 큰 요철의 平均(평균)간격을 나타내며 단면골과 단면산이 차지하는 중심선의 길이
국부 산봉우리의 平均(평균) 간격 ()
순서
※ test(실험) 에 effect(영향) 을 미치는 인자
결과
설명
다. 위 두 그래프는 각각 ROU1, ROU2의 거칠기에 대한 그래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