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債權讓渡와 債務引受 / 債權讓渡와 債務引受 제1절 債權讓渡 Ⅰ. 意 義 채권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4 18:00
본문
Download : 債權讓渡와債務引受.hwp
설명
③ 특정 채권자사이에 결제되어야 하는 채권(상호계산에 기입된 채권)
債權讓渡와 債務引受
④ 채권자 사이에 주종관계가 있는 경우의 종된 채권(기본적 이자채권)
① 채권자가 변경되면 급부의 내용이 달라지는 채권(특정인 교수채권)
레포트 債權讓渡와 債務引受 債權讓渡와 債務引受 제1절 債權讓渡 Ⅰ. 意 義 채권을





Ⅱ. 法律的 性質ƒ. 처분행위„. 준물권행위…. 채권자와 양수인사이의 낙성·불요식 계약(지명채권)
[리포트] 債權讓渡와 債務引受 / 債權讓渡와 債務引受 제1절 債權讓渡 Ⅰ. 意 義 채권을
제1절 債權讓渡
Download : 債權讓渡와債務引受.hwp( 82 )
레포트 > 기타
□판례□ 전세금반환청구권을 전세권으로부터 분리하여 양도할 수 있는지 … 전세권이 담보물권적 성격도 가지는 이상 부종성과 수반성이 있는 것이므로 전세권을 그 담보하는 전세금반환채권과 분리하여 양도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나, 한편 담보물권의 수반...
Ⅰ. 意 義 채권을 그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이전하는 계약
Ⅲ. 指名債權의 讓渡ƒ. 指名債權 채권자가 특정되어 있는 채권„. 指名債權의 原則的 讓渡性(§449본문)…. 指名債權 讓渡 制限
순서
債權讓渡와 債務引受 제1절 債權讓渡 Ⅰ. 意 義 채권을 그 동일성을 유지...
② 채권자가 변경되면 권리행사에 큰 차이가 생기는 채권(임대차, 사용대차)
□판례□ 근로기준법 제42조 1항과 관련된 임금채권의 양도여부와 양수인의 임금채권 청구가 가능한지 … 근로자의 임금채권은 그 양도를 금지하는 법률의 규정이 없으므로 이를 양도할 수 있다아 근로기준법 제36조 제1항에서 임금직접지급의 원칙을 규정하는 한편 동법 제109조에서 그에 위반하는 자는 처벌을 하도록 하는 규정을 두어 그 이행을 강제하고 있는 취지가 임금이 확실하게 근로자 본인의 수중에 들어가게 하여 그의 자유로운 처분에 맡기고 나아가 근로자의 생활을 보호 하고자 하는데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근로자가 그 임금채권을 양도한 경우라 할지라도 그 임금의 지급에 관하여는 같은 원칙이 적용되어 사용자는 직접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아니하면 안되는 것이고 그 결과 비록 양수인이라고 할지라도 스스로 사용자에 대하여 임금의 지급을 청구할 수는 없다.(大判 1988. 12. 13. 87다카2803)
債權讓渡와 債務引受 제1절 債權讓渡 Ⅰ. 意 義 채권을 그 동일성을 유지...
(1) 채권의 성질에 의한 제한(§449 ①단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