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주의 시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3 05:12
본문
Download : 생태주의.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최승호
김종철, 「시적인간과 생태적 인간」 ,삼인, 1999
Ⅱ. 본론 2
1) 생태주의란 무엇인가
4.2 돌아오지 않는 새들을 기다리며/이승하
장정렬,「생태주의 시학」, 한국문화사. 2002 ()
생태주의 시 조사
4.9 흰줄표범나비, 죽음을 받아들이는 힘으로/고진하





생태주의 생태주의시 생태시
Download : 생태주의.hwp( 97 )
2) 생태시의 정의 및 분류
① environment과 생태계의 파괴를 직접적이며 사실적으로 서술하는 시
4) 생태주의 대표적 시인 및 그의 작품세계
4.10 저 숲에 누가 있다/나희덕
<생략>
공장지대
「공장지대」는 생태 파괴를 가장 충격적이고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가장 대표적인 시라고 생각되어 넣어 보았다. 최승호는 environment오염의 결과가 인체에까지 직접적 피해를 입히고 있는 전율적 현실을 노래한다. 젖을 짜면 흘러내리는 허연 폐수와/아이 배꼽에 매달린 비닐끈들. 최승호가 노래하는 이 전율적 현실은 environment을 오염시키고 생태를 무자비하게 파괴한 우리 모두가 당면하게 될 인과응보인 것이다. 그러므로 오염된 몸에서는 오염이 생산되어 그 불행은 결국 인간의 몫이라는 강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코불소는 죽지 않았다>(도요새, 2000)
Reference List 4) 생태주의 대표적 시인 및 그의 작품
Ⅰ. 들어가며 1
4.12 콩알 하나/김준태
4.11 겨울 강가에서/안도현
4.3 들판이 적막하다/정현종
Ⅲ. 맺음말 18
순서
생태주의 생태주의시 생태시 / 김욱동, 「문학생태학을 위하여」 ,민음사, 1998 김종철, 「시적인간과 생태적 인간」 ,삼인, 1999 최승호,「21세기 문학의 유기론적 대안」새미. 2000 장정렬,「생태주의 시학」, 한국문화사. 2002 ()
4.6 까치야 고맙다/정현종
최승호,「21세기 문학의 유기론적 대안」새미. 2000
4.5 폐허 이후/도종환
앞에서 여섯 가지로 분류한 생태시를 구체적으로 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뇌를 지니지 못한 채 태어나는 인간의 실상을 통해 인간이 실종되고 인간성도 상실된 삭막한 물질과 세계를 이제는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인간이 자연을 훼손시켰고 그로 인한 environment이 오염되어 생태계를 파괴했으며 생태계 파괴는 자연에게서 도움 받을 인간의 각종 저항 능력을 상실케 했다. /신경림
4.7 나는 왜 이리 여자가 그리운가/박노해
3) 우리나라 생태시의 흐름
다.
4.1 공장지대/최승호
생태주의 생태주의시 생태시 / 김욱동, 「문학생태학을 위하여」 ,민음사, 1998
4.8 여자, 강바닥 같은/김해자
4.4 이제 이 땅은 썩어만 가고 있는 것이 아닐것이다. 모두 아홉 행으로 되어 있는 이 간결한 시는 어떤 장편 논문이나 서술형의 장시보다도 environment오염의 심각성과 그 끔찍한 결과를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