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에 정복당한 오늘의 culture] 테크노폴리 - 닐 포스트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23:55
본문
Download : [기술에 정복당한 오늘의 문화] 테크.hwp
도구는 文化 자체가 되고자 한다. 도구는 文化 속으로 통합되어 가는 것이 아니라 文化를 공격해 들어간다. 그 결과 전통, 사회적 습속, 신화, 정치, 의식, 그리고 종교는 생존을 위한 싸움을 벌여야 한다.
포스트먼은 文化를 도구사용文化, 기술주의文化, 테크노폴리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기술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혜택에 매료되기 시작하고 과학에 대한 열망이 文化적 전통의 힘을 약화시키는 단계이다. 기술은 특정한 시대나 사회의 文化를 구성하는 요소이면서 그 자체가 文化”(김덕영, 『프로메테우스, 인간의 영혼을 훔치다』, 인물과 사상사, 2006, p.5)이기에, 기술로써 文化적 history(역사) 를 살펴보는 것은 ‘테크노폴리’를 이해하고, 과거로부터의 연장선상에서 실존하는 ‘나’를 명확히 파악하는 데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 가족적 충성심과 명예의 의미를 진지하게 생각할 줄 알고, 어떤 사람도 차별 없이 존중할 수 있는 사람.
다. 17C 이전의 모든 文化가 이에 속한다. ․ 숫자의 마력을 맹신하지 않고, 계산으로 판단을 대신할 수 있다고 믿지 않으며, 정확성을 진리의 동의어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
설명
․ 노인들을 구닥다리로 취급하지 않는 사람.
Download : [기술에 정복당한 오늘의 문화] 테크.hwp( 32 )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 어떤 질문이 어떤 이유로 제기되었는지 알기 전에는 여론 조사를 믿지 않는 사람.
․ 효율성을 인간관계의 최고 目標(목표)로 두지 않는 사람.
둘째, 기술주의文化(technocracies)는 기술이 한 사회가 가지고 있던 文化적 전통과 가치에 도전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말한다. 첫째, 도구사용文化(tool-using culture)는 기술이 순전히 인간의 도구로 남아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여기에서 기술은 인간의 물질적 environment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 역할이 한정된다 따라서 기술은 그 사회의 종교적, 文化적 가치에 종속된다
․ 어떤 질문이 어떤 이유로 제기되었는지 알기 전에는 여론 조사를 믿지 않는 사람. ․ 효율성을 인간관계의 최고 목표로 두지 않는 사람. ․ 숫자의 마력을 맹신하지 않고, 계산으로 판단을 대신할 수 있다고 믿지 않으며, 정확성을 진리의 동의어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 ․ 심리학 등의 ‘사회과학’이 상식적인 언어와 사상을 유린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사람. ․ 최소한 진보사상을 맹종하지 않으며, 정보의 이해와 혼동하지 않는 사람. ․ 노인들을 구닥다리로 취급하지 않는 사람. ․ 가족적 충성심과 명예의 의미를 진지하게 생각할 줄 알고, 어떤 사람도 차별 없이 존중할 수 있는 사람. ․ 위대한 종교적 서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과학이 진리를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체계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
순서
․ 심리학 등의 ‘사회과학’이 상식적인 언어와 사상을 유린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사람.
![[기술에 정복당한 오늘의 문화] 테크-5767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6/%5B%EA%B8%B0%EC%88%A0%EC%97%90%20%EC%A0%95%EB%B3%B5%EB%8B%B9%ED%95%9C%20%EC%98%A4%EB%8A%98%EC%9D%98%20%EB%AC%B8%ED%99%94%5D%20%ED%85%8C%ED%81%AC-5767_01.jpg)
![[기술에 정복당한 오늘의 문화] 테크-5767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6/%5B%EA%B8%B0%EC%88%A0%EC%97%90%20%EC%A0%95%EB%B3%B5%EB%8B%B9%ED%95%9C%20%EC%98%A4%EB%8A%98%EC%9D%98%20%EB%AC%B8%ED%99%94%5D%20%ED%85%8C%ED%81%AC-5767_02_.jpg)
![[기술에 정복당한 오늘의 문화] 테크-5767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6/%5B%EA%B8%B0%EC%88%A0%EC%97%90%20%EC%A0%95%EB%B3%B5%EB%8B%B9%ED%95%9C%20%EC%98%A4%EB%8A%98%EC%9D%98%20%EB%AC%B8%ED%99%94%5D%20%ED%85%8C%ED%81%AC-5767_03_.jpg)
![[기술에 정복당한 오늘의 문화] 테크-5767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6/%5B%EA%B8%B0%EC%88%A0%EC%97%90%20%EC%A0%95%EB%B3%B5%EB%8B%B9%ED%95%9C%20%EC%98%A4%EB%8A%98%EC%9D%98%20%EB%AC%B8%ED%99%94%5D%20%ED%85%8C%ED%81%AC-5767_04_.jpg)
![[기술에 정복당한 오늘의 문화] 테크-5767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6/%5B%EA%B8%B0%EC%88%A0%EC%97%90%20%EC%A0%95%EB%B3%B5%EB%8B%B9%ED%95%9C%20%EC%98%A4%EB%8A%98%EC%9D%98%20%EB%AC%B8%ED%99%94%5D%20%ED%85%8C%ED%81%AC-5767_05_.jpg)
“기술은 특정한 시대나 사회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삶을 규정하고, 인간과 세계를 매개하는 실존의 양식이요 세계관의 양식이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전통적인 세계관이 기술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함으로써 여전히 기술은 인간에 종속된 위치에 머물게 된다
․ 위대한 종교적 서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과학이 진리를 생산할 수 있는 유일한 체계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
기술에 정복당한 오늘의 문화,테크노폴리,닐 포스트먼
․ 최소한 진보사상을 맹종하지 않으며, 정보의 이해와 혼동하지 않는 사람.
[기술에 정복당한 오늘의 culture] 테크노폴리 - 닐 포스트먼
셋째, 포스트먼이 주목하고 있는 ‘테크노폴리’란 기술이 신격화되고 모든 권위를 독점하는 상황을 의미한다.